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새집도 헌 집도 '아이파크' 기피 심화…현대산업개발 사고 수습 '총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입주 앞둔 아이파크 단지 전세 급증…정비사업 '보이콧' 움직임도

이투데이

기기 안양시 관양동 현대아파트 단지 내에 광주 아파트 붕괴 사고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의 재건축사업 참여를 반대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HDC현대산업개발 광주 신축 아파트 붕괴사고로 자사 아파트 브랜드 ‘아이파크’ 기피 현상이 전국으로 퍼지고 있다. 새로 짓는 단지는 물론, 기존 아파트에선 사고 직후 매매·전세 매물이 늘어났다. 현대산업개발은 ‘비상안전위원회’를 신설하고 사고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하지만 서울시와 정부의 중징계가 예고돼 있어 사태 수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아이파크 단지 매물 증가세…기피 현상 심화


21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1319가구 규모 전주시 ‘전주태평 아이파크’는 사고가 발생한 11일 전세물건 99건에서 149건으로 증가했다. 이 단지는 오는 5월 입주를 앞둔 곳이다. 같은 기간 499가구 규모 서울 강남구 ‘역삼센트럴 아이파크’는 기존 전세물건 9건에서 20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기존 입주 단지에서도 아이파크 기피 현상이 감지됐다. 광주 동구 학동 ‘무등산 아이파크’는 지난 11일 사고 이후 총 매매물건이 16건에서 24건으로 늘었다. 이 단지는 1282가구 규모로 11일 이전까지 15개 안팎의 매물 건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사고 직후 매매는 8건 더 늘어난 것이다.

아이파크 평판 악화가 계속되자 정비사업조합은 현대산업개발을 사업에서 배제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됐다. 지난 13일 광주 북구 운암3단지 재건축 조합은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을 비롯한 컨소시엄 주체들을 불러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이곳은 총 3214가구 규모 대단지로 현대산업개발이 컨소시엄으로 참여 중이다.

경기 안양시 ‘관양 현대’는 재건축 사업자 선정 입찰에 참여한 현대산업개발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현수막이 나붙었다. 이에 현대산업개발 측은 유병규 대표이사가 손편지로 안전시공을 다짐하는 내용을 조합에 직접 보내기도 했다. 또 부산시민공원 촉진3구역과 경남 창원 신월2구역 재건축 조합 등 현대산업개발을 시공사로 선정한 곳은 추가 안전진단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에선 강남구 개포1단지 주공아파트 재건축조합원 일부가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단지명에서 아이파크 명칭을 아예 빼야 한다는 주장도 내놨다. 지난해 현대산업개발을 시공사로 선정한 노원구 상계1구역 재개발 조합과 강북구 미아동 미아4구역 재건축 조합, 관악구 신림동 미성아파트 재건축 조합 등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한 재개발 조합원은 “개발 조합원 입주권 보유 중인데 시공사가 현대산업개발(아이파크)이다”라며 “앞으로 분양하더라도 아이파크 하면 붕괴 먼저 떠오를까 봐 조합원 입장에서 매우 답답하다. 이주 단계 이후 시공사 변경이 가능한지 궁금하다”고 했다.

현대산업개발 “주택 보증기간 30년으로 확대…비상안전위원회 운영” 복구 안간힘


이와 관련, 정몽규 HDC그룹 회장은 전날 “저희 고객께서 평생 안심하고 사실 수 있도록 안전 품질 보증을 대폭 강화할 것”이라며 “새로 입주하는 주택은 물론 현대산업개발이 지은 모든 건축물의 골조 등 구조적 안전 결함에 대한 보증기간을 30년까지 대폭 늘려 입주민들이 편히 사실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회사 차원에서 비상안전위원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해당 위원회는 광주시 등 관련 기관과 협력해 안전하고 조속한 사고 수습 지원에 전력을 기울인다. 또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 피해보상기구를 구성해 피해자에게 충분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한다. 회사의 건설 안전시스템 구축을 위해 CSO(최고안전관리자) 도입과 경영진 쇄신 등을 진행한다.

[이투데이/정용욱 기자 (drag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