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취재파일] 중국 현대차 부진은 사드 보복 때문? 중국 차의 진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시장 진출 초기 현대차는 생산 설비를 빨리 늘려야 할 만큼 큰 인기를 누렸습니다. 한 때 베이징 시내 택시의 절반 이상을 현대차가 차지했고 이런 성공에 힘입어 지난 2009년 중국 시장에서 전체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하지만 10여 년이 흐른 지난해 현대차와 기아 판매량은 53만 대, 점유율 2.7%에 그쳤습니다. 지난 2016년 주한미군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를 배치한 이후 시작된 중국 정부의 경제 보복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게 다일까요?

중국 차는 싸구려?



현대차가 중국 시장 공략에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 중 하나가 SUV입니다. 최근 SUV 차종을 많이 늘리긴 했지만 한때 SUV 종류가 많지 않아 고전했던 걸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는 도로 사정 등 여러 이유로 SUV 수요가 많다고 합니다. 그 SUV 시장의 강자가 창청자동차입니다. 세계 유수 브랜드와 비교해 가격 대비 성능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그럼 '돈 없는 중국인들이나 타는 그저 그런 차'일까요? 그렇게 알고 계신다면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창청의 성공 배경에는 우리 기업의 기술 지원도 있었습니다. 창청은 지난 2014년 신형 SUV를 개발 중 경량화 기술 문제로 고전했습니다. 초기 가격 경쟁력으로 시장을 넓혔지만 한계에 부딪쳤고 이때 나선 게 포스코였습니다. 본사 철강솔루션마케팅실과 포스코차이나에서 인력을 파견해 신차 경량화뿐 아니라 성능 향상, 제조 원가 절감까지 도왔습니다.

이런 공식적인 기술 협력 외에도 중국차의 기술 발전에는 나름 그들만의 전략이 있습니다. 전에 자동차 업계에 있는 한 지인이 중국의 기술 개발 방식에 대해 들려준 이야기입니다. 자동차 개발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사실 엔진이 아니라 변속기, 트랜스미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 개발에 4가지 핵심 기술이 필요하다고 할 경우, 주요 업체를 돌며 편의를 봐줄 테니 4가지 중 한 가지만 알려달라고 한다는 겁니다. 업체별로는 1가지씩이지만 결국 4가지 기술을 갖게 되고 어렵지 않게 기술 격차를 줄일 수 있다는 거죠.

수출 시장에서 한국 따라잡은 중국 차



그런 전략이 밑바탕이 돼 중국은 지난해 자동차 수출을 거의 2배로 늘렸습니다. 이제는 한국과 맞먹는 수준입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에 따르면 작년 중국의 완성차 수출 대수는 전년의 2배인 201만 5천 대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 106만 대에서 1년 만에 95만 대 이상, 90.1% 늘어난 겁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집계상 우리나라의 지난해 1~11월 자동차 수출 대수가 186만 대였으니까 거의 같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수출은 2011년 최초로 300만 대를 넘은 뒤 315만 대를 정점으로 이후 내리막길을 걸어 2020년에는 전년의 240만 대보다 21.4% 감소한 189만대로 16년 만에 200만 대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물론 중국 차의 약진은 정부가 정책적으로 자동차 수출을 장려한 데 따른 것도 있지만 중국 현지 업체 제품의 품질이 높아진 영향이 큰 것 또한 사실입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무시가 능사일 수 있을까



지난 2012년 중일 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토 분쟁 당시 일본 기업도 우리 사드 보복에 못지않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일본 도요타는 폴크스바겐, GM에 이어 중국 시장 점유율 3위입니다. 기업 간 무한 경쟁에서 정치적 환경만 탓하는 건 해법이 아닙니다.

중국인들에게 일본 차는 튼튼하고 연비가 좋은 차로 통합니다. 중고차 값도 좋습니다. 미국에서 갖고 있는 일본 차 이미지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한국 차는 2010년대 가성비로 큰 인기를 끌었지만 지금은 브랜드 가치 자체가 많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현대차의 경우 지난해 12위까지 밀렸습니다.

물론 중국 시장은 기업들에게 계륵 같은 존재이기도 합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에서는 아무리 돈을 벌어도 수익으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에서 사업을 하려면 50:50으로 법인을 만들어야 하는데 수익이 나도 중국 내 재투자나 가능할 뿐 본국으로 수익을 보낼 수가 없는 구조라는 겁니다.

정치적 리스크에 경제적 폐쇄성 등등 중국 시장 진출의 어려움이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워낙 거대한 시장이다 보니 무시할 수도 없는 게 중국입니다. 다만 중국 시장이 중국으로만 그치는 게 아니라 중국 시장에서 힘을 키운 중국 기업들이 결국 세계 시장, 그 너머 국내 시장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우리 시내에서 안 보인다고 중국차를 무시하는 건 현실 외면 아닐까요.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남승모 기자(smnam@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