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미·러 21일 '우크라' 재논의…나토 "러시아 함께 만나자"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임소연 기자]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일촉즉발 위기로 치닫는 상황에서 미국과 러시아 외교수장이 오는 21일 다시 만난다. 최근 잇따랐던 미국,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유럽안보협력기구(OSCE)와 러시아 간 연쇄 협상이 성과 없이 끝난 터라 이번 논의에서 우크라이나에 드리운 전운을 가라앉힐 수 있을지 주목된다.

머니투데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접경 지대 군사긴장이 높아지고 있다/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2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나 우크라이나 사태를 논의한다. 양국 외교수장 간 만남은 지난달 2일 스웨덴 스톡홀름 회동 이후 한달 반 만이다.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블링컨 장관이 라브로프 장관을 만나 긴장 완화를 위한 러시아의 즉각적인 조치를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블링컨 장관은 외교적 출구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150%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회담은 미국이 러시아와 주요 관심사를 공유하고 양국이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러시아가 진정으로 외교에 관심이 있는지, 그것이 옳다고 믿고 진지하게 협상할 준비가 돼 있는지, 외교가 러시아의 이익을 다루지 않았다고 주장할 수 있는 핑계를 만들기 위해 논의에 나서는 건 아닌지 언급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덧붙였다.

양국 외교수장은 이날 전화통화에서 제네바 회담에 합의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블링컨 장관은 통화에서 긴장 완화를 위해 외교적 노력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며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에 대한 미국의 흔들림 없는 약속도 재차 강조했다"고 전했다.

머니투데이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사진=나토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네바 회담에 앞서 블링컨 장관은 18일~20일 우크라이나와 독일을 연달아 방문한다. 19일에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동하고, 20일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주요 동맹국 대표들과 우크라이나 사태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번 방문은 러시아의 군사력 증강으로 야기된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접경지역 무력 충돌 위기는 점점 고조되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북부 국경과 인접한 벨라루스에 공동 훈련을 위해 대규모 병력을 파견했고, 미국과 영국, 캐나다는 우크라이나에 무기 및 병력 지원을 약속한 상태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언제든 공격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러시아에 대한 제재 방안으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 시스템 접근 차단 카드도 여전히 고려하고 있다면서 "테이블에서 벗어난 옵션은 없다"고 못 박았다.

이날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독일 베를린에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를 만나 "유럽 내 새로운 군사적 분쟁이 발생할 위험이 진짜로 있다"면서 "우크라이나와 동맹국에 사는 10억 명의 안전이 달렸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재차 러시아와 30개 나토 동맹국의 회담을 제의했다. 동맹국들은 나토·러시아위원회(NRC)에서 서면 제안을 협상테이블 위에 올리고,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할 준비가 돼 있다고 그는 말했다.

한편 숄츠 총리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러시아-서유럽 천연가스 수송관 사업인 노드스트림2를 제재하겠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그는 "노드스트림2에 대한 제재를 시작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지난달 푸틴 대통령과 화상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침공 시 노드스트림2 가스관 가동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임소연 기자 goatlim@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