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석유화학·정유업계 "탄소중립 준비 안 돼…정부 지원 절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업계, 18일 오후 간담회

아시아경제

▲정유공장 참고사진(아시아경제 DB)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석유화학, 정유업계가 탄소 중립 기술 개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날 오후2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석유화학·정유 분야 주요 기업 대표들과 감난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롯데케미칼은 기술 난이도가 높은 탄소중립 연구개발 및 안정적 사업화를 위한 정부의 신규 정책 연구 및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며 신규 연구개발(R&D) 및 사업의 기술성숙도에 맞춰 산·학·연을 연계할 수 있는 빠른 의사 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화솔루션도 대기업의 경우 자체 보유 기술~밸류 체인을 바탕으로 실증·상업화를 추진하는 한편 출연연·대학 등에서는 개발 중인 탄소중립 원천기술의 지원 및 홍보 등 역할을 분담해 탄소 중립 제반 추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탄소중립 설비 도입 및 상업화에 투자 초기 단계에서의 정부 세제 혜택 등의 지원을 촉구하기도 했다.

GS칼텍스는 정유업계가 탄소 다배출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탄소저감 활동과 기술 개발이 현저하게 늦은 상황이라며 연구실 단계부터 차근차근 개발·검증하는 연구도 지원해달라고 요구했다. 정유업계 특성 상 탄소중립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며, 정부 세제 혜택· 탄소 중립 제품에 대한 정의와 인센티브 등 관련 제도의 정비와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석유화학업계의 친환경 기술개발(플라스틱 재활용, 바이오 소재 확대 등) 가속화를 위한 위한 정책적 지원(탄소배출권 인정 등), 화석 원료 대체(바이오 및 폐유기 자원)를 위한 자원 순환 체계 개발·산업계 전기 수요까지 반영한 저렴한 신재생 전기 공급 등을 건의했다.

국내 석유화학·정유산업은 에틸렌 생산능력 세계 4위, 원유 정제 능력 세계 6위의 위상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 주력·수출산업이다. 그러나 탄소배출량(2018년)은 전체 산업 탄소배출량(2억6050만t)의 약 24%(6280만t)를 차지하고 있다. 석유화확업체들이 4690만t(약 18%), 정유업계가 1590만t(약 6%)를 연간 배출한다.

한편 정부는 이 자리에서 2050 탄소중립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40%의 도전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혁신기술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해 올해 탄소중립 R&D 예산을 약 23% 증액한 1조 9245억원으로 편성했다고 소개했다. 지난해 8월 탄소중립 기술특별위원회를 통해 ‘탄소중립 중점기술’ 39개를 선정했는데, 석유화학·정유분야에서는 석유화학공정 전기화, 바이오기반 원료·제품 생산, 폐플라스틱 산업원료화 등 3개가 선정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석유화학·정유분야 지원방안을 포함한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을 오는 2월까지 수립하고 향후 정부 탄소중립R&D 추진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