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마켓서 안 팔린 음식, 프랑스선 못 버린다…해외의 음식쓰레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달 8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한 교회에 놓인 푸드뱅크용 긴급 식량 박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음식 쓰레기는 모든 국가의 고민거리다. 하지만 줄이는 방식은 제각각이다. 한국은 주로 분리 배출된 폐기물의 재활용에 초점을 맞춘다. 반면 해외에선 식품 생산부터 소비, 자원화에 이르는 전 과정에 적극 개입하는 곳이 많다.

많은 나라에서 활용하는 '푸드뱅크'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팔리지 않고 유통기한이 애매하게 남은 음식들을 싸게 팔거나 기부하는 식이다. 미국은 민간 구호 단체와 식품 제조업체, 식당, 농부 등이 협력해 저소득층에 음식을 제공한다. 영국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잉여 식품을 지역 자선단체 등에 재분배하면서 사회적 취약 계층을 챙긴다.

중앙일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프랑스는 2016년 슈퍼마켓에서 팔리지 않은 음식을 버리는 걸 법으로 금지했다. 그 대신 자선 단체와 푸드뱅크에 기부하도록 못 박았다.

범정부 차원의 대응 법안을 내놓은 국가도 많다. 일본은 2019년부터 '식품 손실 감소 추진법'을 시행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 소비자 등이 협력해 음식 쓰레기를 줄이고 식품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환경성 등 6개 부처가 소비자 교육과 업체 지원, 실태조사 등을 진행한다.

Q1 :다음중 음식 쓰레기로 버릴 수 있는 것은

Q2 :음식 쓰레기 처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Q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Q4 :음식 쓰레기를 버리는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정답확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1148

다른 나라에서 현실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강력한 법안을 내놓은 국가도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버려지는 음식을 줄인다면서 아예 '먹방' 자체를 금지한 법을 시행했다. 폭식처럼 음식 낭비가 심각하다고 판단되는 행위엔 최대 10만 위안(약 1870만원)의 벌금을 매길 수 있다.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바꾸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보관 방법 등만 제대로 지키면 유통기한을 넘겨 섭취해도 별문제가 없는데 지나치게 많은 음식이 버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 따르면 EU에서 발생하는 연 8800만t의 음식물쓰레기 중 약 10%가 날짜 표시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일보

미국 코네티컷주의 한 학교에서 아이들이 점심 먹고 남은 음식을 쓰레기통에 버리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음식 쓰레기를 집이나 마을 단위로 퇴비화하는 대안도 꾸준히 시행되고 있다. 호주는 가정용 퇴비 통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식당 등에서 나오는 쓰레기도 비료로 바꾸는 시범사업을 장려하고 있다. 제로웨이스트 상점인 '알맹상점'의 고금숙 대표는 "인도는 길 한 쪽에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시설을 간단하게 갖추고, 주민들이 돌아가면서 관리하곤 한다"라고 설명했다.

앞으로는 각종 기술을 활용해 음식 쓰레기를 편리하게 줄이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영국에선 버려진 빵이나 과자, 채소를 활용해 포도당·영양제 원료로 만드는 등 부가가치를 높이는 자원화가 이뤄졌다. 앱으로 식품 바코드를 찍으면 유통기한 인식 후 기한에 임박해 알려주는 기술도 해외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편광현 기자 pyun.gwanghyun@joongang.co.kr, 장윤서 기자chang.yoonseo1@joongang.co.kr, 김도연 인턴기자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