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화면에서 할머니들을 본 게 벌써 30년 전이다. 일제강점기, 소녀였던 그들은 일본군에 의해 낯선 땅으로 끌려가 성착취를 당했다. 그러곤 할머니가 되어 일제의 만행을 폭로했다. 전쟁은 약자에게, 특히 여성에게 잔혹했다. 전쟁 성폭력에 짓밟히고도 꿋꿋하게 생존해 고통을 증언하는 그들에게 경외심을 느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과 시민사회가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 정부의 사과를 요구하는 시위를 시작한 것은 1992년 1월8일 수요일이었다. 이들이 요구한 것은 오로지 일본 정부의 사과였다. 시위는 손을 에는 추위에도, 발이 젖는 폭우에도 매주 수요일 같은 장소에서 어김없이 열렸다. 서른 돌을 맞은 5일 수요시위까지 모두 1525차례, 단일주제로는 세계 최장기록이다. 경제적 보상만을 바랐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5일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열린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1525차 정기 수요시위’에서 참석자들이 관련 피켓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성폭력 피해 여성이 되레 손가락질받던 그 시절, 자신이 위안부였다고 말하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1991년 8월14일 고 김학순 할머니는 “나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상에 과감하게 알려서 다시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하지 않겠나”라며 상처를 용감하게 드러냈다. 그는 ‘한국인 최초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 증언자’가 되었다. 이후 수요시위가 시작됐고 약 240명이 자신 또한 피해자임을 밝혔다. 위안부 운동은 전쟁 성폭력과 여성인권 차원으로 확장됐으며 이에 공감하는 소녀상이 세계 곳곳에 세워졌다.
[플랫]“살아있는 내가 증거” 김학순의 외침… 위안부 피해의 침묵을 깨다
[플랫]이용수 “나를 여성인권운동가라고 불러주면 좋겠어요”
소녀상 함께 못한 '30주년 수요시위'
강산이 세 번 변했지만 수요시위는 여전하다. 등록 피해자 가운데 생존자는 이제 13명뿐이다. 사과하지 않고 버티는 일본 정부는 어쩌면 이들이 모두 세상을 떠나고 수요시위도 동력을 잃기를 기다리는지 모른다. 지난해부터는 늘 모이던 장소에서도 100m쯤 밀려났다. 극우단체들이 소녀상 앞에 ‘알박기’ 집회신고를 하고 있어서다. 2020년 불거진 정의기억연대의 불투명한 회계·운영 방식을 빌미 삼아 극우단체들은 ‘위안부 강제동원은 없었다’며 피해 사실조차 부정하고 있다.
1999년 12월 29일, 일본 대사관이 있는 서울 교보빌딩 앞에서 20세기 마지막 수요집회가 열렸다. 자신의 시위참가 사진을 들고 참석한 한 할머니의 얼굴에서 세기가 바뀌어도 과거사를 해결하지 못한 데 대한 안타까움과 분노를 읽을 수 있다.김문석 기자 |
시민단체 문제점은 바로잡고 신뢰도 회복해야 한다. 동시에, 전시 성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평화운동이라는 수요시위의 정신은 이어져야 한다. 축제와도 같을 ‘마지막’ 수요시위가 열리는 날이 빨리 오길 바랄 뿐이다.
▼
최민영 논설위원 min@khan.kr
언론과 사회는 여성인권보다 민족주의 관점에서 일제에 짓밟힌 피해자상에만 반응해 문제에 접근했다. ‘피해자의 공통된 뜻’이 있다는 것은 운동이 가진 환상이었을지도 모른다. https://t.co/u8C9Dhsbho
— 플랫 (@flatflat38) June 13, 2020
플랫팀 twitter.com/flatflat38
▶ [뉴스레터] 새해 좋은 식습관을 만들고 싶다면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