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2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 브리핑을 통해 "전 과목 만점을 받은 학생은 전국에서 1명"이라고 말했다.
![]() |
18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강태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이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방향을 브리핑 중이다. wideopen@newspim.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강 원장은 "절대평가 제도 도입으로 전체 만점자라고 할 때는 현재 국어와 수학에서 만점을 받고, 그다음에 절대평가가 적용되고 있는 영어·국사에서 1등급을, 나머지 탐구 영역에서 만점을 받은 수험생을 가리킨다"며 "해당 학생은 졸업생으로 사회탐구를 응시한 것으로 돼 있다"고 말했다.
최근 5년간 수능 만점자를 살펴보면 2018학년도 15명, 2019학년도 9명, 2020학년도 15명, 2021학년도 6명이다. 올해는 단 1명의 만점자만 나오면서 이른바 '불수능'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 올해 수능 국어·수학·영어 영역은 모두 매우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어는 현 수능체제 도입 이래 2번째로 높은 난도로 출제되는 등 문·이과 통합형 첫 수능부터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wideope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