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뚱뚱하면 코로나19 더 잘걸리고 위중증 위험도 높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체중·비만인 경우 중증 위험도 높다는 연구결과

“코로나19에 대한 취약성 비만 자체와 관련 있어”

“지방세포와 체지방 내 면역세포 모두 감염시켜”

“비이러스의 면역 반응 공략 위한 아킬레스건”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과체중이나 비만인 사람들이 코로나19에 더 잘 감염될 뿐 아니라, 사망할 가능성도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은 당뇨 등의 다른 질환보다 지방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이데일리

과체중·비만인 경우 기저질환이 없어도 코로나19에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 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체지방 내 면역세포 감염시켜 강력한 염증 유발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독일·스위스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다국적 연구팀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지방세포와 체지방 내의 특정 면역세포를 모두 감염시켜 인체의 면역 방어체계를 훼손한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NYT는 “코로나19 대유행의 초기부터 코로나 바이러스가 체중이 더 나가는 사람들을 목표로 하는 것 같았다”며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환자들은 코비드19의 심각한 증상을 겪거나 사망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비만 치료 환자에게서 얻은 지방조직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실험하고, 감염된 지방 조직에서 다양한 세포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비만 조직 내 면역 세포들은 과도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확인됐다. 지방 세포 자체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은 됐지만 염증 반응을 크게 일으키진 않는 반면, ‘대식세포’라고 불리는 특정 면역세포는 감염되면서 강력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관찰됐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캐서린 블리시 스탠퍼드대 교수는 “이런 반응이 중증 진행에 크게 관여하는 것 같다”며 “상태가 아주 심각한 환자의 혈액에서 볼 수 있는 사이토카인(면역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 반응이 대식세포 감염시 생성되는 것을 관측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사진= 픽사베이)




“지방이 바이러스 저장고 역할…면역 회피 위한 아킬레스건”

연구팀은 또 코로나19에 감염돼 사망한 유럽 환자의 시신에서 채취한 지방 조직과 각종 장기 근처의 지방에서 코로나바이러스를 발견했다.

딥딕시트 예일대 의대 교수는 “지방조직이 병원균의 저장고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은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라며 “바이러스가 우리의 보호 면역 체계를 피하기 위해 이용하는 ‘아킬레스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면역 체계를 피하기 위해 지방세포에 숨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이다.

연구진은 비만조직의 코로나 감염이 급성 질환에서 회복된 후에도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지속되는 피로와 같은 ‘긴 코비드’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추측했다.

비만 환자의 경우 당뇨병 등 다른 기저질환으로 코로나19에 취약할 수 있다는 소견은 있었으나, 기저질환이 없는 비만 환자들의 위중증 확률이 높은 이유는 그동안 설명이 어려웠다.

이 연구 결과는 아직 ‘동료 평가’ 과정이 완료되지 않았으며 과학저널에도 게재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의 타당성이 입증되면 왜 체중이 많이 나가는 환자들이 바이러스에 취약한지 뿐 아니라, 다른 위험이 없는 특정 젊은층이 병에 잘 걸리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NYT는 전했다.

특히 세계에서 비만율이 가장 높은 미국에서 이번 연구의 의미가 크다. 미국은 성인 대부분이 과체중이고, 42%는 비만이다. NYT는 미국 내에서도 비만율이 높은 흑인, 히스패닉, 아메리카 원주민, 알래스카 원주민은 코로나19에 더 많이 감염되고, 사망률도 백인의 약 2배에 이를 정도로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비만 환자가 코로나19에 더 취약하단 연구 결과는 백신 접종이나 치료제 투여 시 환자의 몸무게나 지방 보유량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NYT는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