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한국 금융시스템 3대 리스크는 인플레이션·높은 가계부채·통화정책 불확실성…"1년이내 발생가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우리 경제 주요 리스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높은 가계부채 수준, 미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3대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다. 특히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충격이 1년내에 발생할 수 있다고 응답한 전문가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국내 금융시스템에 이상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한국 경제의 1순위 리스크 요인으로 높은 가계 부채 수준,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미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번 조사는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업권별 협회 및 금융·경제 연구소 직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 총 80명을 대상으로 지난 11월 진행됐다.

주요 리스크 중 대내요인으로는 높은 가계 부채라고 지적한 응답자의 비율이 53%로 가장 높았고,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36%), 장기 시장금리 상승(24%) 순이었다. 대외요인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55%로 가장 높았고 미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42%), 글로벌 자산가격의 급격한 조정(23%) 등이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다.

응답자들이 선택한 1순위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이 20%로 가장 많았고,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20%), 미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7%)이 뒤를 이었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에 대한 응답 비중은 지난 6월 조사에 비해 상승하여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택했다. 미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과 장기 시장금리 상승은 이번 조사에서 새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됐다.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29% → 36%), 글로벌 자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34% → 23%)은 지난번 조사에 비해 응답 비중이 소폭 변화하였으나, 여전히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대두됐다.

매일경제

우리경제 주요리스크 발현 시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요 리스크 요인의 현실화 시점도 전문가들은 종전보다 앞당겨 진 것으로 판단했다.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충격 발생 가능성에 대해 단기(1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한 비중이 12%(매우높음 포함)로 지난 조사(9%)보다 높아졌다. 단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매우낮음 포함)고 응답한 비중은 39%로 지난 조사보다 8%포인트 하락했다.

또한 중기(1~3년)에 충격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매우높음 포함)고 응답한 비중도 29%에서 36%로 증가했으며, 낮다(매우 낮음 포함)는 응답은 28%에서 25%로 소폭 하락했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미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불확실성, 장기 시장금리 상승, 글로벌 자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은 대체로 1년 이내에, 높은 가계부채와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은 향후 1~3년후에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경우 지난 6월 실시된 조사에서는 중기에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되었지만 이번에는 단기에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이 다수로 조사됐다. 또한 인플레이션 발생시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도 큰 것으로 나타나 인플레이션에 대한 높은 우려를 드러냈다. 이밖에 장기 시장금리 상승과 미 연준 테이퍼링 등 통화정책 불확실성은 상대적으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글로벌 자산가격의 급격한 조정은 발생시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이 큰 것으로 응답자들은 답했다.

다만 향후 3년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지난 조사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응답은 높음이 51%로 절반을 넘었고, 매우 높음도 5%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중도 41%였다.

한편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현재 필요한 과제로는 가계부채에 대한 관리, 코로나19 지원조치의 질서있는 정상화, 부동산시장 안정 도모 등이 현시점에서 긴요한 과제를 꼽았다.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이 가계부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가운데서도 과도한 규제에 대해서는 다소 신중할 필요가 있으며 금융기관은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등 부실화 가능성에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로나19 지원조치 정상화시 채무상환부담이 증대될 가능성이 높은 점, 최근 경제 각 부문별 회복 정도가 상이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