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오미크론 상륙] “왜 공항 문 활짝 열어놓나”…국내 첫 확진, 시민들 뿔났다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오미크론 5명 확진…추가 의심자 2명 분석 중

“정부 방역 그대로면, 하루 1만명 돌파도 가능”

헤럴드경제

지난 1일 인천공항에서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들이 백신접종 자가격리면제자들을 검사센터로 안내하고 있다. 같은 날 국내에서도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처음 확인됐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채상우·강승연·김빛나·김영철 기자]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변이인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확인되면서, 시민사회는 공포에 휩싸였다. 정부의 허술한 방역정책 아래 예견된 수순이었다는 비난도 거세다.

2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까지 이틀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000명을 돌파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해당 확진자가 이용한 인천국제공항 인근에서 한식집을 운영 중인 최재원(49) 씨는 “굉장히 무섭지만, 자영업자로서 할 수 있는 것도 없다”며 “오미크론이 확산이 심각해지면, 매장 운영이 거의 불가능해질 것”이라고 토로했다.

특히 오미크론 변이 국내 확산 우려에도 정부가 소극적인 대처를 했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거세다. 경기 고양시에 거주하는 직장인 박정훈(36) 씨는 “세계 각국이 아프리카 출국자 입국을 차단하는 등 강경 조치로 초기 대응을 하고 있다. 우리도 공항 문을 닫아야 한다”며 “방역 자찬을 하는 한국 정부는 눈치만 보다가 결국 이 같은 사달을 만들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인천에 거주하는 40대 직장인 양모 씨는 “맞벌이 하는 입장에서 아이들 건강이랑 보육 문제로 매일 불안하다”며 “정부가 오미크론에 대해 초반 대처를 안이하게 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런 가운데 정부가 병상 확보 없이 재택 치료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체들까지 들고 일어났다. 참여연대,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재택 치료를 통해 병상 문제를 해소하겠다고 하나 이는 치료가 아닌 모니터링일 뿐이고, 이송 가능한 병상이 없으면 재택치료는 무용지물”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병상 확충을 요구하는 제안서를 청와대에 전달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입국자를 막지 못한다면, 최대한 입국자에 대한 자가격리 등의 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천은미 이화여대 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입국을 제한하면 좋겠지만, 정부가 그걸 할 수 없다면 최소한 모든 입국자에 대해 최대 14일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며 “연말 회식에 대해서도 정부는 이를 지양할 것은 권고하거나, 아니면 한시적인 영업시간 제한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미크론 변이를 비롯,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만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이 상륙한 와중에도 정부는 (사회적)거리두기 강화를 하지 않고 있다”며 “최근 회식도 많고, 부스터 샷 접종률도 떨어져 이대로면 하루 확진자 1만명을 돌파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나이지리아를 다녀온 40대 부부와 그의 아들, 부부의 접촉자 등 5명이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됐다. 이 부부는 지난달 14∼23일 나이지리아를 방문했다. 지난달 24일 귀국, 하루 뒤인 25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후 이달 1일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백신 접종완료자로 격리면제 대상자였기 때문에 양성 판정 이후 이동에 제한을 받지 않았다.

방대본은 이번에 오미크론 변이 감염이 확인된 5명 외에도, 감염 의심자가 2명 더 있는 것으로 확인돼 이들에 대해서도 확진 여부를 분석 중이다.

123@heraldcorp.com
spa@heraldcorp.com
binna@heraldcorp.com
yckim6452@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