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경복궁 태원전 현판 복원도 ‘엉터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國博이 원래 현판 소장 중인데… 문화재청, 사실여부 모른채 복원

문화재청이 2005년 경복궁 태원전(泰元殿)을 복원할 당시, 옛 현판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사실을 모른 채 잘못 복원한 것으로 1일 확인됐다. 국가기관인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 사이에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일어난 일이다.

조선일보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 경복궁 태원전의 원래 현판(위)과 2005년 문화재청이 복원한 태원전 현판. /국립중앙박물관·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날 공개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현판’ 보고서에서 1868년 경복궁 중건 이후 태원전에 걸렸던 편액(글씨를 써서 문 위에 걸어 놓는 액자)의 존재를 밝혔다.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씨로 가로 166.5㎝, 세로 69.3㎝다. 보고서는 “글씨를 쓴 사람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필치가 단정해 당대 명필로 짐작된다”고 했다.

그러나 문화재청이 2005년 경복궁 태원전을 복원하고 새로 만들어 건 현판은 검은색 바탕에 흰색 글씨로, 서체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태원전과 다르다. 글씨는 서예가 양진니씨가 썼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최근까지도 태원전의 원래 현판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고 말했다. 문화재청 산하 국립고궁박물관은 지난해 12월 ‘조선왕실의 현판Ⅰ’ 자료집을 낼 때 태원전 현판의 존재를 확인했으나 문화재청은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경복궁 향원정 서쪽에 있는 태원전은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를 모시던 건물로, 신정왕후와 명성황후가 승하했을 때 빈전(장례를 치르고 능에 안장하기 전까지 왕이나 왕비의 관을 모셔두던 전각)으로 사용된 곳이다. 문화재청은 경복궁 복원 과정에서 광화문, 영추문, 향원정 등 현판의 오류를 인정하거나 교체한 사례가 있는데, 이번에도 오류는 반복됐다. 광화문 현판의 경우 2010년 복원한 흰 바탕 검은 글씨가 아니라 검은색 바탕 금색 글씨였다는 사실이 2018년 밝혀졌다.

[유석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