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위중증·사망자 최다…“병상 확보, 위중증 증가세 못 따라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문가들 “위중증·사망자 줄이려면 사적모임 제한해 이동량 감소시켜야”

세계일보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29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특별방역점검회의를 열고 방역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코로나19 위험 지표는 연일 악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연일 최다를 기록하면서 중환자 병상은 수도권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한계 상황에 도달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28일 연합뉴스와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전국 중증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75.04%(1천154개 중 866개 사용)다. 전날 73.22%에서 1.82%포인트 상승해 75%를 넘어섰다.

수도권 중증 병상이 부족해도 전국적으로는 병상에 여유가 있다는 게 그동안의 정부 판단이었지만, 이제는 전국적인 병상 확보 상황도 코로나19 위험도 긴급평가 기준을 충족했다.

정부는 매주 코로나19 위험도를 평가하면서 유행 위험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별도로 긴급평가를 해 비상계획 실시 여부를 논의한다고 밝힌 바 있는데 그 기준 중 하나가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이 75%를 넘었을 경우'다.

수도권 중증 병상 가동률은 85.4%로 전날 83.5%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서울은 전체 345개 병상 중 86.1%(297개)가 사용되고 있고, 경기도는 85.2%, 인천은 83.5%의 가동률을 기록 중이다.

최재욱 고려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그동안 중증 병상 확보 명령과 병상 이용 효율화 등 조치를 했는데 위중증 환자 증가 속도를 못 따라가서 한계가 온 것 같다"고 진단했다.

수도권 중환자 병상이 포화 상태에 가까워지자 사흘째 1천명 이상의 환자들이 병상 배정을 기다리는 상황이다.

이날 0시 기준으로 수도권 병상 대기자는 총 1천265명이다. 26일 1천310명으로 처음 1천명을 넘어선 병상 대기자는 전날 1천167명보다 98명 늘었다. 4일 이상 중환자 병상을 기다리는 환자도 130명에 달한다.

비수도권도 중환자 병상 여력이 좋은 편이 아니다. 대전과 세종에는 입원 가능한 중환자 병상이 1개씩만 남았다. 충북과 충남은 각 3개, 4개 병상만 추가 환자를 받을 수 있다. 경북은 남은 중환자 병상이 없다.

정부는 중증에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치료하는 준중환자 병상을 확충해 병상을 효율적으로 운영한다는 방침이지만,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전국 71.3%에 이르렀다. 수도권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2.7%다.

코로나19 고령층 확진자·위중증 환자 증가가 병상 부족 사태와 맞물려 사망자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3천928명 중 60세 이상이 38.7%(1천522명)를 차지하는 가운데 신규 사망자는 56명으로, 역대 최다 수치를 기록했다.

사망자 중 29명(51.79%)은 80세 이상, 15명(26.79%)은 70대, 9명(16.07%)은 60대로 94.65%가 60세 이상 고령층이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13명 증가한 647명으로, 역시 역대 최다 기록이다.

위중증 647명 중 547명이 60대 이상으로 전체 위중증 환자 가운데 고령층 환자 비율이 84.5%에 달했다.

사망자는 이틀 연속으로, 위중증 환자는 엿새 연속으로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정부는 29일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 주재로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를 개최해 방역 강화 대책을 결정한다.

이 회의는 지난 1일부터 4주간 시행한 단계적 일상회복 방역 상황을 평가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29일 발표에 앞서 정부는 28일 오후 비대면으로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 회의를 열어 코로나19 위험도를 논의했다. 방역의료분과의 자문 내용은 위험도 평가와 그에 따른 조치 계획에 반영된다.

현재 코로나19 위험도는 전국이 '높음', 비수도권은 '중간'이고 수도권은 최고 단계인 '매우높음'이다. 29일 발표되는 평가에서 위험도가 상향 조정될지 주목된다.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핵심 지표인 중환자 병상 가동률, 의료대응 역량 대비 발생 비율,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60세 이상 및 고위험군 추가접종률 등이 전반적으로 악화한 상황이다.

방역과 의료대응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커진 상황에서 일상회복을 현 1단계에서 2단계로 개편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부는 단계적 일상회복 1단계 시작 6주(4주 시행+2주 평가) 뒤 2단계 전환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일상회복을 중단하는 방안, 즉 예전의 '거리두기' 강화 방식은 고려하지 않고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확대하고 추가접종을 독려하는 방향으로 방역종합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방역·의료 전문가들은 위중증, 사망자 숫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적모임을 제한하고 이동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전체적인 확진자 규모를 축소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촉구하고 있다.

병상 확보 대책으로 재택치료를 확대하고 방역패스에 유효기간을 도입해 백신 추가 접종을 독려하는 방안도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