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비호감 대선 입증..."이미지 더 나빠졌다" 李 35.9% 尹 39.4% [엠브레인퍼블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오른쪽)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년 대통령 선거가 ‘비호감 대선’이라는 세간의 평가는 여론조사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중앙일보가 여론조사 업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26~27일 진행한 대선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 대한 비호감도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후보의 최근 이미지 변화를 묻자 응답자의 35.9%가 ‘더 나쁜 이미지를 갖게 됐다’고 응답했다. ‘더 좋은 이미지를 갖게 됐다’는 응답은 25.1%였다. ‘이미지가 이전과 같다’는 대답은 34.0%였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48.0%), 서울(40.1%) 순으로 이미지가 더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40.8%)와 30대(46.4%)에서 이 후보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변화했다고 답했다. 또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지지층의 52.9%, 심상정 정의당 후보 지지층의 45.1%가 이 후보 이미지가 더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중앙일보

이미지 나빠지는 양강.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윤 후보는 이 후보보다 부정적인 응답이 더 많았다. 최근 윤 후보의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응답이 39.4%로 좋아졌다는 응답(18.1%)을 크게 웃돌았다. 이미지에 변함이 없다는 대답은 37.4%였다.

지역별로는 호남 지역 응답자의 62.5%, 인천·경기 지역 응답자의 42.2%가 윤 후보의 이미지가 나빠졌다고 했다. 특히 40대의 58.1%가 윤 후보에 대해 나쁜 이미지를 갖게 됐다고 답하는 등 60대 이상(21.9%)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부정적인 응답이 40%를 넘었다. 심 후보 지지층에선 60.2%, 안 후보 지지층에선 35.7%가 윤 후보 이미지가 더 나빠졌다고 답했다.



차기 정부 과제는 일자리 27.3%, 부동산 26.5%



중앙일보

차기 정부 중점 추진 과제.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한편 차기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국가 과제로는 응답자의 27.3%가 ‘일자리 창출 및 경제 성장’을 꼽았다. 부동산 시장 안정화(26.5%)가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고, 빈부 격차 및 양극화 해소(13.0%), 특권 및 불공정 해소(12.5%), 코로나 확산 방지(6.3%), 저출산 고령화 대응(5.6%) 순이었다.

특히 젊은 층은 부동산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만 18세~29세에서는 31.5%, 30대에서는 39.1%가 부동산 안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40대 이상에서는 일자리와 경제를 택한 응답자가 부동산 시장 안정을 택한 이들보다 더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의 30.6%가 일자리 및 경제, 22.7%가 부동산 안정화라고 응답했고, 여성은 30.2%가 부동산, 24.0%가 일자리 및 경제를 선택했다.

응답자의 이념 성향은 보수(32.3%)가 진보(31.3%)보다 조금 더 많았지만 비슷했다. 자신이 중도라는 응답은 30.6%였다.

■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26~27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20명을 대상으로 유선 임의전화걸기(RDD, 비율 14.9%)와 무선(가상번호, 비율 85.1%)을 결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유ㆍ무선 평균 응답률은 13.8%며 2021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손국희 기자 9key@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