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이슈속으로] 혹시 '영끌'했나요?…내 대출이자 얼마나 더내나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머니투데이

지난해 연 2% 중반대 금리로 3억원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30년 만기)을 받아 집을 산 직장인 A씨. 어느새 대출금리가 1%포인트(p) 이상 올라 매월 상환하는 원리금이 약 118만원에서 135만원으로 17만원 늘어났다. 연간 상환액을 기준으로 하면 192만원을 더 갚아야 한다.

갚아야 할 빚은 앞으로 더 늘어난다. 한국은행이 지난 25일 기준금리를 또 인상(0.75→1.00%)한 데다 내년까지 2~3회 더 올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주담대 상단 금리는 이미 5%를 넘어섰다. 새로 주담대를 받으려는 대출자들도 불과 1년 만에 1%포인트 이상 더 이자를 물고 돈을 빌려야 하는 상황이다.


기준금리 '1% 시대', 은행 주담대 금리 2년 11개월만에 최고치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2021.11.25/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주담대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26%로 전월보다 0.25%포인트(p) 급등했다. 2018년 11월(3.28%) 이후 2년 11개월 만에 최고다. 상승폭이 2015년 5월(0.25%p) 이후 6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다. 신용대출 금리도 마찬가지다. 10월 신용대출 금리는 4.62%로 9월보다 0.47%p 올랐다. 2019년 3월(4.63%) 이후 제일 높다. 전체 가계대출 금리는 연 3.46%로 9월(3.18%)보다 0.28%포인트 급등했다. 2019년 5월(3.49%) 이후 최고점이다.

대출금리 상승은 지난 8월 기준금리 인상 이후 은행채 등 준거금리가 오른 영향이 크다. 특히 이달 한은의 추가 금리인상이 기정사실화하고 기준금리 '1% 시대'가 임박하면서 지난달 국고채 등 시장금리가 많이 올랐다. 은행들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대출금리를 올리는 금리 정책을 의도적으로 가져간 것도 주된 배경이다.

준거금리가 오른 게 사실이지만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올리고 특히 우대금리를 축소하면서 대출금리 상승폭이 더 커졌다. 송재창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대출금리 상승 배경을 "코픽스와 은행채 등 지표금리 상승에 덧붙여 은행들이 가계대출 관리 차원에서 우대금리를 축소하고 가산금리를 늘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



주담대 금리 '6% 시대' 초읽기, 가계 이자부담 올해만 6조↑


시중은행이 판매하는 주담대 금리는 최고 금리 기준으로 5%를 훌쩍 넘어선 지 오래다.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고정형(금융채 5년물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 25일 현재 연 3.85~5.191%로 지난해 말(2.69~4.20%)과 견줘 약 1%포인트 올랐다. 변동형(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 주담대 금리도 같은 기간 2.52~4.054%에서 3.58~4.954%로 올라 5% 진입이 목전이다. 신용대출(1등급·1년 만기)의 경우 작년 말 2.65~3.76%에서 이날 현재 3.40~4.63%로 상승했다. 역시 최고금리 5% 돌파가 머지 않았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8월(0.25%p)에 이어 지난 26일 기준금리를 1.00%로 0.25%p 추가 인상하면서 우상향하는 대출금리 곡선의 기울기는 더 가팔라질 가능성이 크다. 조만간 주담대 최고 금리가 6%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올해 모두 0.50%p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2분기 가계신용 기준) 연간 이자 부담은 작년말보다 5조 8000억원 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출자 1인당 연간 30만원(271만→301만원) 정도 이자 부담이 늘었다.

더 불어난 3분기 가계대출 잔액을 대입할 경우 가계 이자부담은 6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금리에 따라 대출금리가 바뀌는 변동금리형 가계대출 차주 비중은 9월 말 현재 74.9%에 달한다. 한은이 내년 1분기를 포함해 2~3회 더 대출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금리는 대세 상승기에 접어들었다. 물가 상승 압력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속도와 금리인상 시점이 기울기와 속도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 "이자장사" 비판 직면, 대출금리 상승 속도조절 가능성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각에선 당장은 대출금리가 과속 상승하진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지난 9~10월 국채 금리 급등이 내년까지 이어질 기준금리 인상분을 선반영한 결과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3년 만기 국채 금리가 지난달 연 2.20%까지 상승했는데 11월 기준금리 인상과 내년 연속적인 금리 인상 경로(최고 1.75%)가 반영돼 필요 이상으로 단기 급등했다는 것이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린 전날 채권시장도 무덤덤하게 반응했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날보다 0.08%p 내린 연 1.933%로 마감했다. 2년물과 5년물도 각각 0.069%p씩 떨어진 1.746%, 2.168%로 장을 끝냈다. 10년물 역시 연 2.348%로 0.046%포인트 하락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통화정책 정상화 움직임에 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해 3년물 금리가 2%대까지 올랐다가 오히려 이날 금리 인상 확인 후 안정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은행들도 당분간은 대출금리 상승 속도를 적절히 제어하는 금리 정책을 펼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과도하게 올려 이자 장사를 한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어서다. 금융감독당국도 최근 은행 예대금리차 확대에 대한 비판 여론을 의식해 대출금리 산정 체계와 구조를 들여다 보겠다며 압박에 나선 상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 증가 속도 억제를 위해 깎았던 우대금리를 일부 되살리는 방식으로 대출금리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주요 은행들이 전날 한은 기준금리 인상 발표 직후 발빠르게 예·적금 금리를 기준금리 인상분 이상인 최대 0.40%포인트 올리기로 한 것도 고객 불만과 여론 악화, 당국의 압박을 두루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오상헌 기자 bborira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