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대한민국 연구 현장

국내연구진, 수산화칼슘 탄산화 반응원리 세계 최초 규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왼쪽부터 지질자원연 최병영 박사, KBSI 김선하 선임연구원, 한옥희 KBSI 박사, 표준연 김용일 박사, 지질자원연 이승우 박사.[KBSI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지구 온난화가 인류의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가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탄소 저감, 활용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물이 수산화칼슘의 층간으로 들어가 탄산화 반응을 촉진하는 원리를 규명, 수산화칼슘을 활용한 이산화탄소 저감, 전환 및 산업적 응용기술 개발에 새로운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서울서부센터 한옥희 박사 연구팀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공동연구를 통해 물이 수산화칼슘의 탄산화 반응 초기에 층상구조 안으로 삽입돼 탄산화 반응을 빠르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삽입된 물의 양 측정도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이산화탄소 검출에 주로 사용되는 수산화칼슘은 탄산화 반응을 이용하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탄산칼슘이나 탄산수소칼슘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장치에 활용한다. 시멘트가 물과 섞였을 때 시멘트에 포함된 산화칼슘이 물에 녹은 대기중의 CO2와 반응하여 단단해지는 원리가 탄산화 반응의 대표적인 예다. 물과 섞여 빠르게 수산화칼슘의 탄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은 널리 알려졌으나, 반응과정에서 물의 역할을 명확히 규명하거나, 들어간 물의 양을 정량화한 사례는 그동안 전무했다.

공동연구팀은 고체 NMR 분석을 통해 탄산화 반응 초기에 수산화칼슘의 층간으로 물 분자가 들어감을 밝히고, 들어간 물의 양을 측정했다. 물과 섞인 수산화칼슘 시료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물이 4.8ppm에서 수소 핵종신호를 보이는 것과 달리, 수산화칼슘 내부로 들어간 물 분자는 약 1ppm에서 신호가 관찰됐다.

이렇게 구분되는 신호 면적 크기를 활용해 수산화칼슘 층간으로 들어간 물을 정량할 수 있었다. 특정한 조건에서 다양한 물질의 화학적 특성에 따른 반응속도를 고려하는 이론적 계산을 통해 수산화칼슘의 층간으로 먼저 물이 들어갔을 때 탄산화가 빠르게 진행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원자 수준에서 물이 삽입된 수산화칼슘의 구조와 탄산화 반응과의 연관성을 실증한 세계 최초 사례다. 향후 수산화칼슘을 공장 배기가스와 대기중 CO2를 저감할 수 있는 포집제로 활용함은 물론, 시멘트의 경도 조절, 그리고 고순도의 수산화칼슘을 탄산화시켜 페인트, 치약의 기능을 강화하는 충진제의 특성향상 등 다양한 연구·산업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한옥희 박사 연구팀은 수산화칼슘의 탄산화 초기 반응과정 검증 및 삽입된 물의 양 측정을 담당했고, 지질자원연 이승우 박사 연구팀은 초기 아이디어를 확보해 각 실험에 필요한 시료준비 및 연구총괄을 맡았으며, 표준연 김용일 박사 연구팀은 수산화칼슘의 구조분석을 수행했고, UNIST 곽상규 교수 연구팀은 계산과학을 통해 물이 수산화칼슘의 탄산화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밝혔다.

한옥희 박사는 “이번 연구는 원자 수준에서 화합물에 대한 구조 규명과 정량분석을 함께할 수 있는 핵자기공명(NMR) 분석기법의 장점을 잘 보여준 연구결과”라며 “앞으로도 NMR 기술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CO2의 저장 및 전환 등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