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기억할 오늘] '한 자녀 정책'의 풀리지 않는 브레이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29 중국의 인구충격
한국일보

중국 인구가 2029년(14억4,000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위키미디어 커먼스 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5월 시진핑 중국 공산당 총서기가 '세 자녀 정책'을 승인하고, 8월에 전국인민대표자대회(전인대)가 정책을 법제화했다. 세제 혜택 등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는 장려책이 함께 나왔다. 2015년 10월 29일 '한 자녀 정책'을 포기한 지 불과 6년여 만의 일이었다.

중국 정부는 1979년 가구당 한 자녀 정책을 단행했다. 불임수술을 종용했고, 아이를 더 낳으면 '사회 유지비'라는 일종의 벌금을 내게 했다. 비대해진 인구 압박과 실업률 등을 염두에 둔 정책이었다. 산아제한은 수많은 사회문제를 양산했다. 성비 불균형도 심각해서, 2010년 인구센서스기준 성비(여성 100을 기준으로 한 남성 비율)는 118.1이었다. 외신들이 '인신매매'라 표현한 북한 여성과의 국제결혼도 빈번했다.

'두 자녀 정책' 시행 직후인 2020년 말 시행된 중국 제7차 인구센서스 결과 출생 인구 성비는 111.3으로 다소 완화됐다. 하지만 15~59세 생산가능 인구 비중은 2010년 대비 6.79%P나 하락한 63.35%(9.4억→8.9억 명)를 기록했고, 65세 이상 노인 인구도 4.63%P 증가한 13.5%로 고령사회(14% 이상) 문턱에 닿았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농촌 고령화(17.72%)는 더욱 심각했다.

인구 성장 탄력도 당연히 떨어졌다. 총 인구는 10년 전(14억3,972만 명)보다 7,206만 명이 늘어 마이너스 증가율은 모면했지만, 2010년의 0.57% 증가율에 못 미치는 0.53%에 머물렀다. 2016년 신생아는 약 1,800만 명이었지만 지난해 말에는 1,200만 명으로, 두 자녀 정책의 실패를 여실히 입증했고, 감소 추세도 더욱 가팔라졌다. 노동인구의 도시 집중에 따른 주거 등 생활·교육 비용 부담이 가장 큰 장애물이다. 2019년 중국사회과학아카데미는 2029년을 정점으로 총인구가 감소하리라 전망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의 인구 충격이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 중인 모양이다.

최윤필 기자 proos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