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사과하면 대구였는데…이젠 '강원도 사과'가 최상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기후위기 보고서 / 현실로 다가온 기후변화 ② ◆

매일경제

지난달 13일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해발 550m 위 고랭지 농장에서 만난 김건영 씨가 잘 익은 사과를 바구니에 담고 있다. 과거 무·양배추 재배지였던 이곳은 기온이 올라 지금은 사과 재배지로 바뀌었다. [정선 = 김금이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고랭지 채소를 재배하던 것도 벌써 10년도 넘은 옛날 일이죠. 지금은 사과 농사를 지어요. 낮에는 덥고 햇볕이 쨍쨍해도 밤에는 서늘하게 기온이 내려가니 아삭한 식감과 당도를 가진 사과를 재배하기 딱 좋은 곳이 됐어요."

지난달 13일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해발 550m 위 고랭지 농장에선 무·배추 대신 빨갛게 익어가는 사과를 수확하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이곳은 13년 전까지만 해도 강원도 대표 작물인 무·양배추 등 고랭지 작물을 재배했던 곳이다. 하지만 현재는 사과나무가 1만㎡ 규모로 빽빽하게 들어서 있다. 농장 주인 김건영 씨(65)는 "어릴 적부터 부모님를 따라 이곳에서 60년 가까이 농사를 지었는데, 그때는 옥수수와 콩이 전부였다"며 "이후 몇십 년간 고랭지 배추 등을 성공적으로 재배했지만, 기온이 올라가면서 2008년부터 사과 농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임계면 곳곳에선 대규모 농장 외에도 개인 주택이나 식당, 카페마다 사과나무를 심어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임계농협에도 명절 선물용으로 배송되는 사과 박스가 쌓여 있었다. 농협 관계자는 "임계에서만 매년 1500t가량의 사과가 재배되고 작황이 좋아 귀농해서 사과 농장을 꾸리는 외지인도 많아졌다"며 "요즘엔 사과의 주 재배지였던 경북 안동에서도 임계 사과를 최고로 쳐준다"고 자랑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계속되면서 한반도 식량 지도가 크게 뒤바뀌고 있다. 진작부터 사과·복숭아·감귤 등 과일의 재배지가 강원도로 북상하고 남부지방에선 파인애플·바나나 등 아열대 작물이 자리를 잡는 추세다. 28일 강원도 정선군에 따르면 관내 사과 재배지는 2010년 50㏊(16농가)에서 지난해 250㏊(319농가)로 최근 10년 사이 5배나 늘었다. 사과는 햇볕이 쨍쨍한 낮에 생장 활동을 하고 서늘한 밤에 당도가 높아져 일교차가 중요하다. 교과서에서 배웠던 대표적 사과 생산지인 대구, 충남 예산, 경북 안동 등 남부지방에선 폭염과 열대야로 인해 점차 사과 재배가 어려워지고, 겨울철 눈이 덜 쌓이고 여름철엔 일교차가 큰 날씨를 유지하는 강원도 고랭지가 사과 재배의 적지가 된 것이다. 꾸준한 기온 상승으로 고랭지 채소 대신 '강원도 사과'를 재배하는 농가들은 호황기를 맞았다.

반면 무·배추 등 고랭지 채소를 재배하는 곳은 2010년 2025㏊에서 지난해 995㏊로 반 토막 났다. 특히 올해 강원도 고랭지 채소 재배 농가는 코로나19와 지구온난화로 인해 '최악의 한 해'를 보내고 있다. 가을장마와 이상기후로 인한 병해충에 배추가 썩는 일이 많았고, 코로나19로 식당과 학교급식 물량마저 줄어들어 가격이 평년보다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농사를 지을수록 오히려 적자가 나 밭을 갈아엎을 정도로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대로 기온 상승이 이어진다면 2090년 강원도 태백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김씨는 "배추 농사를 할 당시엔 기온이 변해 경영비가 많이 들어가고 가격도 들쑥날쑥해지다 보니 안정적인 수입을 얻기 어려웠다"며 "재배면적이 줄어들거나 기후 영향을 받아 병해충 피해를 입으면 가격이 뛰기도 하고, 과잉 생산을 하거나 작황이 너무 좋아 재배면적이 5%만 늘어도 값이 떨어져 엄청난 타격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최근 30년(1991~2020년) 동안 과거 29년(1912~1940년)에 비해 연평균 기온이 1.6도 상승했다. 1912년부터 109년간 연평균 기온은 10년마다 0.2도 올랐다. 기온이 상승하면 폭염·호우 등 이상기후가 빈발하고 병충해가 늘어나 농업 분야는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재배지가 북상하고 있는 사과와 배는 80년 후엔 우리나라에서 실종될 것이란 암울한 전망도 나온다. 21세기 말 한반도의 평균기온은 지금보다 4.7도 올라가 아열대 기후로 변하게 되면 쌀 수확량이 25% 이상 감소할 수 있으며, 옥수수는 10∼20%, 여름감자는 30% 이상 줄어들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마늘·양파 등을 생산하던 전남 해남군은 이미 파인애플, 애플망고 등 아열대 작물 산지로 변신하고 있다. 전국 평균기온보다 약 1도 따뜻한 해남은 2025년 이후에는 아열대 기후로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해남의 180여 농가는 무화과·참다래·바나나·애플망고 등 16개 아열대 작목을 125㏊ 규모로 재배하고 있다. 해남은 2019년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조례까지 제정해 아열대 농업 활성화에 매달리고 있다. 최근엔 농업 분야 기후변화 대응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기후변화대응센터 설립 용지로 최종 선정되기도 했다.

김용환 서울대 농생명과학대학 교수는 "기후변화를 버티는 힘을 기르기 위해선 농업 분야의 탄소 배출을 줄이도록 유도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 등을 이용해 강한 종자를 육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선 = 김금이 기자 / 박홍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