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7 (수)

"임진왜란 때 조선 주력 함선 '판옥선' 길이 32m · 폭 8.7m"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해군의 주력 함선이었던 '판옥선' 규격이 길이 32.16m, 너비 8.74m, 높이 5.56m, 중량 140.3t(톤)이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판옥선 형태·구조·항해 방법 등에 관한 연구 성과를 담은 '판옥선' 보고서를 오늘(28일) 공개했습니다.

판옥선은 조선 명종 10년인 1555년 왜구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개발됐습니다.

평평한 갑판 위에 널판을 세워 덮개를 덮은 선박으로, 거북선 제작의 토대가 됐다고 알려졌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우리나라 해역에서 나온 옛 선박과 각종 문헌·회화를 분석하고, 지자체 등이 제작한 판옥선·거북선 재현 선박을 살폈습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30분의 1 크기의 판옥선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연구를 담당한 홍순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조선시대 문헌 '비변사등록'에 나오는 "통제사가 타는 대선은 본판장 70척"이라는 문구를 바탕으로 선박 크기를 추정했습니다.

본판장은 배의 바닥을 이루는 구조물로, 한 척은 영조척(營造尺) 기준으로 31.2㎝입니다.

아울러 홍 연구사는 우리나라 전통 선박인 한선(韓船)은 바닥이 평평했지만, 판옥선은 파도에 부딪힐 때 오는 저항을 줄이기 위해 바닥 앞쪽과 뒤쪽이 부드럽게 휘어진 형태였다고 강조했습니다.

SBS

조선시대 판옥선 노 구조와 위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 연구사는 판옥선에서 사용한 노 형태와 노 젓는 방법도 보고서에 제시했습니다.

길쭉한 나무 두 개를 엮은 전통 한국식 노가 아니라 오늘날 카누에 사용하는 T자 형태 노 등을 썼을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습니다.

홍 연구사는 "두 명씩 마주 보고 앉아서 함께 노를 저었고, 한 명은 구호를 외쳤을 것"이라며 "전통 한국식 노로는 충분한 추진력을 얻기 힘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판옥선에는 적에게 노출되지 않고 노를 젓는 공간이 있었고, 사수·화포장 등은 갑판에서 효율적으로 전투에 임할 수 있었다"며 "적선과 충돌하면 부술 수 있을 만큼 두꺼운 부재로 견고하게 배를 만들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판옥선은 썰물 때 쉽게 돌진할 수 없으며, 둔중하고 속력이 느리다는 점은 단점이었다"고 지적했습니다.

홍 연구사는 "기존에 만들어진 판옥선과 거북선 재현 선박은 문헌만 고려해 기능적인 문제점이 적지 않았다고 본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거북선 원형을 밝히는 과정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SDF2021] 5천만의 소리, 지휘자를 찾습니다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