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타임스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서 처음으로 피해 사실을 고발한 고 김학순 할머니의 부고 기사를 실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현지 시각 25일자 지면에서 부고면의 절반을 할애해 '간과된 여성들' 시리즈의 하나로 김 할머니의 생애와 증언의 의미를 대대적으로 보도했습니다.
이 시리즈는 뉴욕타임스가 1851년 이후 제대로 보도하지 못한 주목할 만한 인물의 부고 기사를 통해 늦게나마 그들의 삶을 조명하려는 취지에서 기획했고 지난 2018년 3월에는 이 기획 연재를 통해 유관순 열사를 추모했습니다.
이번 보도는 김 할머니가 1997년 12월 폐 질환으로 세상을 떠난 지 24년 만에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독자들에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재조명한 것입니다.
1991년 8월 14일 김 할머니의 첫 기자회견으로 부고 기사를 시작한 뉴욕타임스는 "그의 강력한 설명은 일본의 많은 정치 지도자들이 수십 년간 부인해오던 역사에 생생한 힘을 실어줬다"고 평가했습니다.
성폭력 피해자라면 수치심 속에 침묵을 지키는 게 일반적이었던 당시 한국 문화에서 용기를 낸 김 할머니의 증언은 세계 각국에 있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추가 증언으로 이어졌습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연예인 A씨와 유튜버의 싸움? 궁금하다면 [웹툰뉴스]
깔끔하게 훑어주는 세상의 이슈 [와이퍼]
뉴욕타임스는 현지 시각 25일자 지면에서 부고면의 절반을 할애해 '간과된 여성들' 시리즈의 하나로 김 할머니의 생애와 증언의 의미를 대대적으로 보도했습니다.
이 시리즈는 뉴욕타임스가 1851년 이후 제대로 보도하지 못한 주목할 만한 인물의 부고 기사를 통해 늦게나마 그들의 삶을 조명하려는 취지에서 기획했고 지난 2018년 3월에는 이 기획 연재를 통해 유관순 열사를 추모했습니다.
이번 보도는 김 할머니가 1997년 12월 폐 질환으로 세상을 떠난 지 24년 만에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독자들에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재조명한 것입니다.
1991년 8월 14일 김 할머니의 첫 기자회견으로 부고 기사를 시작한 뉴욕타임스는 "그의 강력한 설명은 일본의 많은 정치 지도자들이 수십 년간 부인해오던 역사에 생생한 힘을 실어줬다"고 평가했습니다.
성폭력 피해자라면 수치심 속에 침묵을 지키는 게 일반적이었던 당시 한국 문화에서 용기를 낸 김 할머니의 증언은 세계 각국에 있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추가 증언으로 이어졌습니다.
YTN 강태욱 (taewookk@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연예인 A씨와 유튜버의 싸움? 궁금하다면 [웹툰뉴스]
깔끔하게 훑어주는 세상의 이슈 [와이퍼]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