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NYT, '위안부 첫 증언' 김학순 할머니 24년만의 부고기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간과된 인물들' 시리즈로 김 할머니와 위안부 피해자 문제 조명

연합뉴스

24년만에 김학순 할머니 부고 기사 실은 뉴욕타임스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뉴욕타임스가 25일(현지시간) 지면에 실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 할머니의 부고 기사. 2021.10.25 [뉴욕타임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firstcircle@yna.co.kr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 유력 신문 뉴욕타임스(NYT)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서 처음으로 피해 사실을 고발한 고(故) 김학순 할머니의 부고 기사를 실었다.

NYT는 25일(현지시간)자 지면에서 부고면의 절반을 할애해 '간과된 인물들'(Overlooked) 시리즈의 일환으로 김 할머니의 생애와 증언의 의미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이 시리즈는 NYT가 1851년 이후 제대로 보도하지 못한 주목할 만한 인물의 부고 기사를 통해 늦게나마 그들의 삶을 조명하려는 취지에서 기획했다. 지난 2018년 3월에는 이 기획 연재를 통해 유관순 열사를 추모한 바 있다.

이날 보도는 김 할머니가 1997년 12월 폐 질환으로 세상을 떠난 지 24년 만에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독자들에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재조명한 것이다.

1991년 8월14일 김 할머니의 첫 기자회견으로 부고 기사를 시작한 NYT는 "그의 강력한 설명은 일본의 많은 정치 지도자들이 수십년간 부인해오던 역사에 생생한 힘을 실어줬다"고 평가했다.

성폭력 피해자라면 수치심 속에 침묵을 지키는 게 일반적이었던 당시 한국 문화에서 용기를 낸 김 할머니의 증언은 세계 각국에 있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추가 증언으로 이어졌다.

지난 1998년 보고서에서 일본군 위안소 운영을 반인류 범죄로 규정한 게이 맥두걸 전 유엔 특별보고관이 최근 한 콘퍼런스에서 "내가 보고서에 쓴 어떤 것도 김 할머니의 30년 전 직접 증언이 미친 영향력의 근처에도 가지 못한다"고 말했다는 대목도 부고 기사에 포함됐다.

한일 관계를 전공한 역사학자 알렉시스 더든 미 코네티컷대 교수는 NYT와의 인터뷰에서 "김 할머니는 20세기의 가장 용감한 인물 중 하나"라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역사학자들의 연구도 그의 1991년 회견 덕분에 본격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 할머니의 생전 증언을 통해 그의 기구한 삶을 자세히 조명한 NYT는 2018년 한국이 김 할머니가 처음 회견한 8월14일을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정했다는 사실도 소개했다.

연합뉴스

위안부 문제 공개 증언한 김학순과 소녀상
(교토=연합뉴스) 지난 7월 24일 일본 교토부(京都府) 교토시의 한 시설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이 전시된 가운데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 증언한 고 김학순(金學順·1924∼1997) 씨의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2021.10.25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firstcircl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