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서울 평균 아파트값 12억도 넘었다···文정부 들어 두배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개월만에 또 1억 올라

10월 12억 1,639만원

강북도 10억 돌파 눈앞

급등 피로감·대출 규제에

서울 집값 상승폭은 둔화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이 두 배 오르며 12억 원을 돌파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난해 3월 이후 가격이 급등하면서 약 6개월마다 1억 원씩 오르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다만 장기간 가격 상승에 따른 피로감과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최근 아파트 값 상승 폭은 점차 축소되는 모습이다.

25일 KB국민은행 월간 주택 가격 동향 통계에 따르면 10월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은 12억 1,639만 원을 기록해 12억 원을 넘어섰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6억 708만 원이었던 것이 4년 반 만에 두 배가량 뛴 것이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해 3월 대출 규제선인 9억 원을 돌파한 바 있다. 이후 6개월 뒤인 9월 10억 원을 넘어서더니 올해 4월 11억 원, 다시 10월에는 12억 원까지 뛰어넘었다.

지역별로 보면 강남과 강북을 가리지 않고 상승세가 고르게 나타났다. 한강 이북의 14개 자치구 평균 아파트 매매가는 2017년 5월 4억 5,864만 원에서 이 달 9억 7,025만 원으로 111.55% 올랐다. 한강 이남 11개 자치구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는 같은 기간 7억 3,347만 원에서 14억 4,865만 원으로 97.51% 상승했다. 시기별로 나눠 살펴보면 2019년 1월까지는 강남 권역 가격이 20.15% 올라 17.48% 상승한 강북 권역을 제쳤다. 이후에는 강북(35.64%)이 강남(31.42%)보다 빨리 올랐다. 강남 지역 상승에 따른 ‘키 맞추기’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강북 14개 구의 3.3㎡당 평균 아파트 값이 4,008만 원으로 이달 처음으로 4,000만 원을 넘으며 강북에도 ‘평당 4,000만 원’ 시대가 도래했다. 강남 11개 구 중에서는 이 달 송파구의 3.3㎡당 아파트 값(6,002만 원)이 6,000만 원을, 강서구의 3.3㎡당 아파트 값(4,008만 원)이 4,000만 원을 각각 돌파했다.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같은 기간 단독주택·연립주택 등 비(非)아파트 가격도 크게 올랐다. 2017년 5월 서울 단독주택 평균 매매 가격이 7억 2,983만 원이었지만 이 달 가격은 9억 5,330만 원으로 상승률이 30.6%에 달했다. 연립주택 가격은 2억 6,214만 원에서 3억 4,287만 원으로 30.8% 뛰었다.

특히 최근 아파트 대체제로 인식되며 수요가 몰리는 서울 빌라의 경우 상승률이 고공 행진하고 있다. 10월 빌라 가격 상승률은 1.43%를 기록해 9월(1.42%) 기록을 넘어섰고, 이 달 아파트 값 상승률(1.05%)보다도 높았다. 서울 빌라의 올해 1~10월 누적 상승률은 7.73%로 지난해 1~10월 상승률(4.42%)을 크게 앞섰다. 빌라 가격이 급등하는 원인으로는 장기간의 아파트 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재개발 규제 완화 등이 꼽힌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용적률 상향과 층고 완화로 재개발 기대감이 커지며 서울 빌라에 투자 수요가 몰리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장기간 집값 상승에 따라 피로감이 확산하고, 정부의 대출 규제까지 강화되면서 최근 아파트 값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1.05%로 지난 5월 1.01%를 기록한 이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가격 상승세 둔화는 9월에서 10월 상승률이 1.87%에서 0.93%로 낮아진 강북 권역에서 두드러졌다. 강남 권역 상승률은 같은 기간 1.53%에서 1.15%로 줄었다.

전문가들은 서울 집값 급등의 원인으로 공급 제한과 정부의 각종 규제를 꼽으며 현 정부 출범 이전으로의 정책 회귀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경인여대 경영학과 교수)은 “저금리로 유동성이 풍부한 상황에서 서울 아파트 공급이 제한되고 다주택자 대상 양도세 중과로 매물까지 씨가 마르면서 가격 급등 현상이 나타난 것”이라며 “가격 안정을 위해서는 보유세는 그대로 유지하되 거래세를 줄여 매물을 시중에 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덕연 기자 gravity@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