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임대주택도 반발 극심한데...서울 쓰레기 소각장 어디에 짓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각장 부지 결정되면 지역 주민과 '갈등' 불가피

선거 앞두고 정치적 부담…오세훈 "최대한 서두르겠다"

뉴스1

재활용쓰레기 선별장에 쌓인 쓰레기를 포크레인을 이용해 분류하고 있다. 2021.9.23/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서울시 쓰레기 소각장 위치 선정이 예정보다 늦어지고 있다. 최근 임대주택 건립을 반대하는 강남·송파구 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쓰레기 소각장은 더 큰 갈등을 불러올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하루 1000톤 규모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장 부지를 찾고 있다.

지난 3월부터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해 8~9월쯤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쉽게 결정 내리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 한 관계자는 "(신규 소각장을) 지을 땅이 없다는 것이 실감이 난다"며 "전문가들로 구성된 입지선정위원회가 결과를 통보해줘야 하는데 연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어느 지역으로 결정되도 주민들과의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내년 3월 대통령 선거와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쟁(정치적 싸움)에 휘말릴 가능성도 점쳐진다.

4선에 도전하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정치적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지역 내 자치구 구청장 후보도 표심 관리를 위해 거세게 반기를 들고 나올 가능성이 커 소각장 건립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서울시가 강남구 서울의료원 부지와 송파구 가락동에 위치한 옛 성동구치소 부지에 임대주택 건립을 추진하자 지역 주민들이 강력 반발했다.

정순균 강남구청장과 박성수 송파구청장도 주민들의 성난 민심을 달래기 위해 서울시에 임대주택 건립 철회를 강력 촉구했다.

임대주택 건립에도 주민들의 반대 여론이 거센데, 기피 시설인 쓰레기 소각장 위치가 결정되면 더 큰 논란은 불 보듯 훤한 상황이다.

최근 강동구 고덕·강일지구가 소각장 후보지로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기도 했다. 강동구는 2018년 한 차례 소각장 건립을 추진하다 절차상 문제로 무산됐는데, 이번 입지 선정 후보지로 와전돼 논란이 불거진 것으로 전해졌다.

하루 1000톤을 처리할 부지가 필요하다보니 주택 밀집 지역을 벗어나 대형 공터가 있거나, 시 경계 등 외곽 지역이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 대형 부지를 찾지 못하면 두 곳으로 나눠 건립하는 방안도 열려있다.

현재 서울에는 쓰레기 소각장이 양천·노원·강남·마포 등 4곳과 은평구 단독자원회수시설인 '은평환경플랜트'가 가동 중이다.

뉴스1

오세훈 서울시장. 2021.10.20/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인천 서구에 위치한 '수도권 매립지'를 2025년까지 사용하기 위한 협상을 위해서라도 서울 내의 신규 소각장 설립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2015년 환경부와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는 4자 협의체를 구성해 당초 2016년이던 매립지 사용 기한을 2025년 말까지 연장하고 대체매립지를 찾지 못하면 남은 3·4매립장의 최대 15%(106만㎡) 범위 안에서 더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인천시가 '발생지 처리 원칙'을 앞세워 "쓰레기 독립"을 선언했고, 이에 환경부를 중심으로 대체 매립지 공모에 나섰지만 두 차례나 무산됐다.

이와 관련,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20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팍타 순트 세르반다(약속은 지켜져야만 한다는 뜻의 라틴어 법 격언)"라며 "환경부,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가 다 같이 한 합의를 휴지조각으로 만들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다만 쓰레기 소각장 입지 선정에 대해서는 "최대한 서두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인천과 협상을 위해서라도 서울시 내부적으로 쓰레기 자체 처리를 강화해야 한다"며 소각장 신규 설립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junoo5683@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