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7 (수)

"누리호, 70년대 중국기술 못미쳐"…깎아내리기 보도한 中·日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박가영 기자]
머니투데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21일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이 독자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Ⅱ)가 첫 발사에서 '절반의 성공'을 이뤄내면서 세계의 이목이 쏠렸다. 주요 외신들은 발사 과정과 결과, 의미 등을 일제히 보도하며 한국의 과학기술 진전에 주목했다. 하지만 이웃 나라인 중국은 달랐다. 중국 관영매체는 누리호의 기술 수준을 평가절하했다. 일본 언론 역시 과학적 성과보다 군사적 의미에 집중했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22일 누리호 발사에 대해 1970년대 중국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보도했다. 중국 우주전문가인 황즈청은 환구시보와의 인터뷰에서 "누리호의 운반 능력은 중국의 첫 로켓인 창정 1호 수준을 넘어섰지만, 종합적인 수준은 1970년대 개발한 창정2호보다 못하다"고 주장했다. 창정2호는 2단 운반 로켓으로, 2.4톤의 무게를 200~400㎞ 근접 궤도까지 보낼 수 있다.

이어 황즈청은 "누리호의 3단 로켓은 액체 엔진을 사용했지만 고압 애프터버너를 채용하지 않았다"며 "애프터버너는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며 이런 기술을 손에 넣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5년 이상이 걸린다"고 했다.

또 환구시보는 익명의 우주전문가를 인용해 북한과 비교하며 한국을 깎아내렸다. 자체 기술개발의 길을 걸어온 북한은 출발점이 높고 한국보다 기술 발전이 빠르지만, 한국은 시작부터 러시아의 기술에 의존했기 때문에 기술 개발이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음에도 결국 실패한 것은 한국의 로켓 연구 개발의 핵심 프로세스가 아직 완전히 뚫리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일본 언론은 누리호 발사가 북한에 미사일 개발 빌미를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향후 다양한 인공위성을 쏘아 올려 우주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겠다는 것이 (한국의) 목표지만, 누리호 발사가 북한을 자극하는 불가피하다"며 이 같이 평했다. 그 이유로 북한이 지난 9월 한국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에 대해 국제사회가 별다른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것을 두고 '이중 기준'이라고 비판해 왔다는 점을 들었다.

교도통신은 "누리호 발사가 북한의 미사일 시험으로 한국과 일본 등 주변 국가에 긴장감이 도는 시기에 이루어졌다"고 짚었다. NHK는 "북한이 과거 인공위성을 발사했다고 했지만, 국제사회가 '사실상 장거리 탄도 미사일'이라며 비판한 바 있다. 이 때문에 누리호 발사를 두고 북한이 반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미국 등 주요 외신은 미완의 '성공'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미션이 순조롭게 진행되지는 않았으나 한국은 군사 미사일 능력과 민간 프로그램 모두에서 진전을 이루면서 중국과 일본의 우주 프로그램을 따라잡고 있다"고 평가했다. CNN 방송은 "누리호는 한국 최초의 자체 개발 로켓으로 미래 인공위성과 임무 등 다양한 문을 열었다"면서 "이번 임무가 성공적이었다면 한국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1톤 이상의 위성을 탑재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를 개발하는 나라가 됐을 것"이라고 전했다.

AFP통신은 누리호 비행 과정을 전하면서 한국을 "전쟁의 잿더미에서 벗어나 세계 12위 경제대국이 됐으며 스마트폰과 메모리 칩 제조사인 삼성전자의 본거지"라고 소개했다. 로이터는 이륙한 누리호가 순조롭게 비행했지만, 위성 모사체를 궤도에 안착하는 데는 실패했다면서 "이번 발사는 한국의 야심 찬 우주 계획에 있어 큰 도약"이라고 했다.

누리호는 길이 약 47m미터의 3단식 로켓으로 지난 21일 오후 5시쯤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누리호는 발사 후 고도 700㎞에서 위성 모사체를 분리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궤도에는 안착하지 못해 절반의 성공으로 끝났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발사 후 브리핑에서 "오늘 발사는 아쉬움을 남겼으나 국내 독자개발 발사체의 첫 비행시험으로 주요 발사 단계를 모두 이행했다"며 "핵심기술을 확보했음을 확인하는 의미를 남겼다"고 자평했다.

박가영 기자 park080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