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7 (수)

헝다 급한불 껐지만 유동성 위기는 지속…"자산매각이 관건"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간 벌었지만 다음주 또 '고비'…버는 돈 없이 갚을 빚만 300조원대

연합뉴스

중국 선전시의 헝다 본사 사옥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공식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몰렸던 헝다가 23일까지 꼭 갚아야 했던 달러 채권 이자 8천350만달러(약 985억원)를 지급하면서 가까스로 급한 불을 껐다.

하지만 채무 원리금 상환일이 계속 돌아올 예정이어서 헝다가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날지는 결국 대형 자산 매각에 달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관영 증권시보가 22일 헝다의 달러 채권 이자 상환 소식을 전하면서 시장에서는 헝다 관련 불안이 다소나마 누그러졌다.

헝다물업(物業) 지분 매각 불발 소식에 전날 12% 이상 급락했던 헝다 주가는 이날 홍콩 증시에서 장중 7%까지 올랐다.

연합뉴스

헝다의 공식 디폴트가 부동산 업계 연쇄 디폴트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던 가운데 신청파잔(新城發展)이 13% 이상 오르는 등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주가도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다.

헝다물업 지분을 매각해 3조원대 현금을 확보, 급박한 유동성 위기를 일단 넘기려던 계획이 틀어지면서 헝다가 23일까지 1천억원에 가까운 달러화 채권 이자를 제대로 갚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 바 있어 시장에서는 이날 헝다의 이자 상환 소식이 다소 의외라는 반응이 많았다.

일부 헝다 채권 보유 기관들을 대리하는 홍콩의 한 변호사는 로이터 통신에 "그들(헝다)이 가까운 시간 내 디폴트는 피하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며 "그들이 계속 자금을 찾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다행"이라고 말했다.

그렇지만 헝다의 전체 부채가 위안화로 약 2조위안(약 369조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번 채권 이자를 막았다고 해서 이 회사의 유동성 위기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조짐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냉정한 평가도 나온다.

유나이티드퍼스트파트너의 아시아 조사 책임자인 저스틴 탕은 블룸버그에 "오늘 이자 상환은 전체에서 아주 작은 부분을 차지할 뿐"이라며 "이 회사의 문제를 해결해주지도 않고, 이 회사가 '산 송장'(living dead)라는 사실을 바꾸지도 못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헝다가 향후 계속 밀려들 부채를 상환할 능력을 갖추려면 결국 추진 중인 자산 매각에서 성과를 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당장 지난달 29일과 이달 11일 내지 못한 달러화 채권 이자 지급일이 유예기간을 마치고 내주부터 연이어 찾아온다.

또 헝다는 올해 추가로 4건의 달러화 채권 이자를 막아야 하고, 내년까지 상환해야 할 달러화·위안화 채권 규모는 74억달러(약 8조7천억원)에 달한다.

저스틴 탕은 "투자자들은 헝다의 부채 조정, 특히 가치 있는 자산 매각의 진전에 더욱 큰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헝다는 헝다물업과 헝다자동차 등 자회사와 보유 부동산 등 핵심 자산을 팔아 디폴트 위기를 넘기려 했지만 아직까진 구체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거래로 주목받은 헝다물업 지분 매각이 대금 지급 방식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무산됐고, 홍콩 건물 매각도 이뤄지지 않았다.

연합뉴스

매각설이 나왔던 헝다의 홍콩 완차이 소재 건물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결국 사태의 해결의 키를 쥔 것은 중국 당국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당국은 헝다의 자산 매각 등을 실질적으로 허가할 권한을 갖고 있는데 헝다의 이번 헝다물업 지분 매각도 광둥성 당국의 불허 때문이라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중국 당국은 작년 말부터 정책적으로 과도한 차입에 의존한 부동산 개발 기업들의 사업 관행에 메스를 대기 시작했다.

중국 당국의 입장에서 당면한 헝다의 경영난은 주택가격 안정과 국가의 장기적 위험 요인 제거를 위한 '개혁'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일부 고통이다.

헝다 위기가 전체 부동산 업계의 위기, 나아가 금융권으로 전이되지만 않는다면 당국이 헝다의 파산까지 방치할 것으로 보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헝다 사태가 중국 경제의 거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부동산 산업을 심각히 위축시키면서 가뜩이나 급랭 중인 경기 둔화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 수 있어 중국 당국이 '어지러운 디폴트' 상황이 벌어지지 않게 최소한의 관리와 개입에는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최근 새롭게 대두 중이다.

이런 가운데 이강(易綱) 인민은행장은 지난 17일 "300조원이 넘는 헝다의 부채가 금융 시스템 속에서 수백개의 기관에 퍼져 있고 많이 집중돼 있지 않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당국이 헝다 파산에 따른 대규모 부실 채권 발생 같은 최악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ch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