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오늘 우주로 향하는 누리호, 나로호와 무엇이 다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임재현기자] 누리호(KSLV-II)가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역사적인 순간을 기다리고 있다. 오늘(21일) 오후 4시께 발사가 예정돼 있으며, 정확한 발사 시간은 발사 1시간 30분 전 발표된다. 국내 300여개 업체, 500여명 인력이 투입돼 약 11년 간 개발 기간을 거친 누리호는 순수 국내 기술만으로 개발한 우주 발사체다.

첫 발사임을 고려해 3단 부분에 실제 위성 대신 모사체 위성(더미 위성)을 탑재하고 시도한다. 발사 성공 시 우리나라는 세계 7번째로 자력으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나라가 된다. 그러나 누리호가 우리나라 최초 우주 발사체인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우주 발사체를 쏘아 올린 경험이 있다. 지난 2013년 쏘아 올려진 나로호(KSLV-I)가 세 번의 발사 시도 끝에 정상궤도 진입에 성공한 바 있다.

◆1.5t급 실용위성 누리호…나로호와 15배 차이

총길이 47.2m, 총중량 200t에 이르는 누리호는 총길이 33.5m, 총중량 140t 나로호보다 훨씬 거대하다. 투입 고도도 누리호는 600~800km로, 나로호의 300km보다 지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가장 큰 차이는 엔진이다. 나로호는 2단 엔진으로 구성돼 있지만, 누리호는 3단 발사체다. 특히 75t급 액체엔진 4기로 구성된 누리호의 1단 엔진은 300t의 추력을 낼 수 있어, 탑재 중량이 1500kg로 나로호와 비교해 15배 늘어났다. 75t급 액체엔진 개발에 성공한 건 우리나라가 세계 7번째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순수 국내 기술 누리호, 러시아와 협력한 나로호

모든 발사체 구성품이 순수 우리 기술로 이루어진 누리호와 달리, 나로호는 러시아와의 기술협력으로 개발됐다. 특히 지구 중력을 벗어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1단 액체 로켓은 러시아 기술로만 이루어져 있고, 우리나라는 조립만을 했을 뿐이다. 우리나라는 2단 고체엔진 개발과 나로우주센터 건립을 맡았다. 나로호가 발사된 제1발사대 역시 러시아가 설계한 도면을 입수해 국산화 과정을 거친 것이지만, 누리호의 제2발사대는 국내 기술로 구축했다.

◆러시아와 협력한 나로호, 누리호 개발 밑걸음

나로호 발사 경험은 누리호 개발의 밑거름이 됐다. 나로호 이전 국내 우주 발사체 기술은 백지 수준이었다. 러시아 로켓을 사서 조립만 했을 뿐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러시아와 협력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사체계 설계,종합 기술, 발사체 상단 기술, 발사장 지상 시스템 기술 등 여러 가지를 직간접적으로 습득할 수 있었다. 수행 과정에서 30t급 액체엔진 자체 핵심 기술도 확보했으며, 결정적으로 나로우주센터 등 우주개발 인프라가 구축됐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한편 처음 로켓을 개발해서 발사에 성공할 가능성은 약 30%로 알려져 있다. 누리호의 첫 발사 여부는 16분 만에 판가름 날 전망이다. 발사 후 16분 7초가 지나, 발사체 3단부가 분리되며 더미 위성이 정상궤도에 올라야 성공하는 것이다. 누리호는 이번 발사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내년에 2차 발사를 진행한다. 2차 발사 잠정 예정일은 내년 5월19일이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