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25.8% 세계최고 효율 달성…韓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UNIST 석상일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적용·결함 줄여

헤럴드경제

UNIST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실험을 수행하고 있다.[UN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를 가능케 할 획기적인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석상일 특훈 교수팀은 박막 태양전지 구성층 간에 집중된 결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간층 생성 원리를 확인하고 25.8%의 세계 최고 수준 효율을 갖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미국 재생에너지연구소에서 인증 받은 공인기록도 25.5%로 세계에서 가장 높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 ‘네이처’ 10월 20일(현지시각) 온라인 공개됐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와 달리 얇고 가볍고, 유연하게 만들 수 있다. 용액 공정으로 값싸게 만들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로 꼽힌다. 전하입자(전자, 정공)를 만드는 광활성층 물질로 페로브스카이트를 쓴다.

태양전지 내 생성된 이 중간층은 박막형태 이종소재 사이에서 완충재 역할을 해 결함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결함은 내구성뿐만 아니라 전자(전기입자)의 흐름을 방해해 효율도 떨어뜨린다. 특히 구성 원소와 원자가 배열된 모양 자체가 다른 이종 소재가 맞닿는 지점(계면)에서는 배열이 찌그러져 원자가 빠지는 등의 결함이 쉽게 생긴다. 약한 물리적 결합으로만 연결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전자전달층과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간에 생성된 이 중간층 물질을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확인 결과 이 물질은 전자전달층과 광활성층을 원자 수준에서 결함 없이 연결했다. 포항가속기연구소 X-선 빔라인 등을 실험에 활용했다.

헤럴드경제

광활성층(페로브스카이트)과 전자전달층간의 중간층 형성. (a) 계층화된 전자 전달층, 새로운 중간층, 페로브스카이트층, 정공(hole) 전달층의 그림. (b) 중간층 형성의 이론적 시뮬레이션.[UN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간층은 전자전달층의 주석 성분 덕분에 만들어졌다. 주석(Sn)은 2가 양이온 (Sn2+)인 동시에 4가 양이온(Sn4+)이 될 수 있다. 또 전자전달층내 산소 이온뿐만 아니라 페로브스카이트의 염소 이온과도 결합할 수 있다. 연구팀은 바로 이 두 가지 원리에서 착안해 전자전달층과 페로브스카이트를 원자단위에서 결정구조학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층을 얻을 수 있었다.

석상일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과 전자전달층 소재와 구조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효율과 안정성을 모두 갖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개발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 최고의 인증 효율을 달성한 것은 물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접근법은 후속 연구자들에게 큰 영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뜻깊은 연구”라고 전했다.

석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로 마의 효율이라 불렸던 20%를 처음 넘긴 것은 물론, 세계 최고의 공인 효율을 스스로 다섯 차례나 경신했다. 지금도 세계 최고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2012년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페로브카이트 이종접합태양전지 구조 덕분이다. 현재 24%가 넘는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대부분은 이 구조를 갖는다. 또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저널인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보고한 논문도 이번으로 8편째에 이른다. 지난 9월에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탄생과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2022 랭크 광전자공학상에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바 있다. 영국 랭크 재단에서 수여하는 이 상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저명 과학상이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