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라건아, 안드레진, 첼시리...특별귀화 10년, 국민공감대 얻기 위해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2018-2019프로농구 정규경기 시상식에서 MVP 라건아가 인터뷰하고 있다. 2019.3.20. 스포츠서울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서울|임재훈 크리에이터] 농구의 라건아, 럭비의 안드레 진, 아이스하키의 맷 달튼. 이들은 모두 한국으로 특별 귀화한 선수들이다.

스포츠서울

럭비대표팀 귀화 선수 김진(안드레). 2019. 12. 19. 박진업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귀화 방법으로 일반귀화, 간이귀화, 특별귀화가 있다. 그중 특별귀화는 과학·경제·문화·체육 등 특정 분야에서 매우 우수한 능력을 보유해 국익에 기여할 것으로 인정되는 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특별귀화는 일반귀화와 달리 5년 이상의 국내 거주기간을 요구하지 않고 이중국적이 허용된다는 장점이 있어 스포츠 선수들을 영입하기에 용이한데, 법무부에 따르면 2019년까지 총 29명이 체육 분야로 특별귀화했다.

2011년에 처음 도입된 특별귀화는 올해로 10주년을 맞았지만,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최근에도 대구FC 간판 공격수 세징야의 귀화설과 함께 이 이슈가 수면 위로 올라왔다. 스포츠 선수 특별귀화에 찬성하는 측에서는 한국 스포츠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선수들에게 선진 기술을 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반대 측에서는 특별귀화가 메달을 위한 특혜로 변질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오히려 한국 유망주들을 발굴할 기회가 줄어들 것을 우려한다.

양측 모두 일리 있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문제는 매번 이런 논란이 발생하면 해당 선수를 특별귀화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로만 소비된다. 과연 해당 선수를 한국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시스템은 제대로 잡혀있는지에 대한 고민은 밀려나 있다. 단적인 예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다.

스포츠서울

맷 달튼(가운데 아래). 스포츠서울DB


한국은 2018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선수층이 얇은 아이스하키와 바이애슬론 종목을 중심으로 총 19명의 선수를 귀화시켰다. 이들은 ‘푸른 눈의 태극전사’라는 이름으로 언론에 소개됐고 일부는 문화 체험을 선보이며 한국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하지만 3년이 지나 한국에 남아있는 귀화 선수는 소수에 불과하다.

7명이 귀화했던 남자 아이스하키는 코로나19로 인해 국내외리그가 취소되며, 골리 맷 달튼을 제외한 대부분이 계약을 해지하고 본국으로 돌아갔다. 평창 올림픽에서 여자 바이애슬론 국가대표로 활약했던 예카테리나 아바쿠모바도 한국 적응에 실패하며 팀을 떠났다. 그 결과 특별귀화가 ‘일회성 귀화’로만 이용됐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스포츠서울

KEB하나 첼시리(가운데). 2016.01.08. 부천 | 강영조기자kanjo@sportsseoul.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첼시 리 사태’ 또한 특별귀화가 얼마나 단편적인지 보여준다. 자신의 할머니가 한국인이라며 해외동포 선수 자격으로 여자프로농구 무대에 입성한 첼시 리는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면서 시즌이 끝나자마자 특별귀화가 추진됐다.

그러나 검찰 조사 결과, 제출했던 출생증명서가 위조된 것임이 밝혀졌고 한국계가 아닌 것으로 잠정 결론이 났다. 더 큰 문제는 WKBL과 대한체육회가 전혀 인지하지 못했고 이후 서류 위조 정황을 포착했지만,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단기 성과만 바라보다 문제를 자초한 셈이다.

특별귀화는 여러 분야의 인재를 영입한다는 ‘특별’의 의미도 있지만, 동시에 한국 사회의 한 일원으로 받아들인다는 ‘귀화’라는 근본적인 의미도 있다. 그러기에 앞선 사례들이 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스포츠계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특별귀화가 도입된 지 10년이 지난 지금. 이제 귀화 선수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방안 없이 귀화 여부만을 가지고 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해당 정부 부처와 스포츠 단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귀화를 인식하고 그 선수들이 태극마크를 달기에 앞서 ‘한국인’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앞으로의 특별귀화는 앞으로도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어려울 것이다.
sscreator@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