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10년 뒤 자동화로 사라지는 국내 일자리 700만개…“AI·자동화 관련 신규 고용 창출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상희 의원, 과기정통부 등에 촉구

[경향신문]

생산직과 서비스직, 단순 노무직이 인공지능(AI)에 대체될 고위험군으로 꼽히는 가운데, 정작 AI 관련 직업교육은 전공자·고급 과정에 집중돼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받은 ‘2021 한국 직업 전망’ 자료를 분석한 결과 144개 직종 중 자동화로 인해 미래에 90% 이상 대체될 직업 분야는 주방 보조원 등 음식 관련 단순 종사자(95.6%), 청소원 및 환경미화원(94.1%), 하역 및 적재 단순 종사자(91.6%), 식음료 서비스 종사자(90.0%)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농림·어업 관련 단순 종사자(80.6%), 식품가공 관련 기계 조작원(77.2%), 건물 관리원 및 검표원(73.6%), 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72.6%), 배달원(71.1%), 작물 재배 종사자(67.5%)가 뒤를 이었다.

2018년에 발표된 매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에는 기존 일자리의 27%가 자동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전체 취업자 수를 2700만명으로 가정했을 때 약 700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특히 단순 노무직은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시스템과 자동화 AI 기술이 접목돼 직업 대체 시기가 빨라질 가능성이 커졌다.

이와 관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4차 산업혁명 흐름에 맞춰 2019년부터 AI 관련 직업교육 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전공자를 위한 고급 과정에 편중돼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2019년 AI 전공자를 위한 대학원 사업에 50억원, 2020년 산업 전문 인력 AI 역량 강화와 대학원 사업·AI 융합 연구센터 사업에 211억원, 올해는 전년과 동일한 사업에 419억2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2022년엔 AI 융합 혁신 인재양성 사업을 추가해 총 483억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김 의원은 “기존 전공자들의 고급 과정 교육도 중요하지만 AI 관련 새로운 일자리를 연구해서 확대하는 것도 과기정통부의 역할”이라며 “기존 산업 분야에 AI가 접목되는 경우, 고용노동부 등 관련 부처들과 협의해 해당 산업 분야 종사자들에게 새로운 AI 교육과 일자리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유진 기자 yjleee@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