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이슈 미술의 세계

조선 단청의 그 색, 돌 깨뜨려 시간으로 갈아 만들었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문화재청 전통단청 시범사업으로 보수작업을 마친 전북 전주 경기전 실록각. [사진 김현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진한 색을 내려면 칠하고 말리기를 몇 번이고 반복해야 하는 시간과의 싸움인데, 진짜 잘 나왔어요”

최근 새단장을 한 강원 동해 삼화사 무문전의 단청 사진을 보여주며 가일전통안료 김현승(58) 대표는 이렇게 말했다. 색색의 단청에 칠해진 안료는 그가 만든 것이다. 삼화사는 문화재청이 2019년 시작한 ‘전통단청 시범사업’ 대상 중 한 곳이다. 문화재의 단청을 보수할 때 전통 안료와 아교를 사용하도록 한 사업이다. 서울 종로 탑골공원 삼일문, 가평 현등사 등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김 대표는 2008년부터 전통 석채(石彩)를 만들어왔다. ‘석채’는 ‘돌로 만든 색’이라는 뜻으로, 전통 단청과 불화(佛畵) 등에 쓰이는 전통 안료다. 그림을 그리거나 단청에 칠할 때는 아교에 개어 쓴다.

최근 찾아간 경기도 양평 작업장에선 ‘석청’ 제조 작업이 한창이었다. 가장 수요가 많은 색 중 하나다. 주먹만한 파르스름한 돌을 작두와 정으로 깨고, 돋보기를 놓고 하나하나 골라낸다. 골라낸 조각 중 색이 진한 것은 물과 함께 맷돌에 갈면서 색을 내는 부분 이외의 불순물을 시커먼 땟물과 함께 나오게 한다. 갈아낸 가루는 물에 담가 여러 차례 옮기면서 입자의 크기와 비중에 따라 분류한다. 이른바 수비(水飛) 과정이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색이 석청(푸른색), 석록(녹색), 뇌록(암녹색), 경면주사(붉은색), 자황(노란색) 등이다.

중앙일보

석청 가루 푼 물(오른쪽 위 대야)을 아래쪽 네 접시에 차례로 옮겨담아가며 접시에 남는 돌가루를 모으면 한 가지 색이 된다. 가장 처음 물을 따르는 오른쪽 접시에는 가장 빨리 가라 앉는 무거운 입자들, 왼쪽으로 갈수록 천천히 가라앉는 다소 가벼운 입자들이 모인다. 굵은 입자가 색도 진한 탓에, 사진상으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갈수록 옅은 푸른색을 띤다. [사진 김현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석채는 돌가루의 입자가 클수록 진한 색, 작을수록 연한 색을 띤다. 김 대표는 수비를 “5㎛~100㎛ 크기의 입자들을 물에 한꺼번에 푼 뒤, 무거운 입자가 먼저 가라앉는 원리를 이용해서 큰 입자부터 먼저 뽑아내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두 달여의 수비 과정을 거쳐 10단계 색의 석채로 분류해낸다.

석채는 대량으로 값싸게 만들기 어렵다. 돌을 깨고 고르는 일은 사람이 직접 해야 하고, 이후는 오롯이 시간과 물을 들이는 만큼 결과물이 나오는 작업이기 때문. 가장 비싼 석채는 하늘색과 보라색이 섞인 색을 내는 청금석 가루로, 1g에 7000원을 호가한다. 원석 구하기도 까다롭다. 조선시대처럼 대부분의 원석은 중국·일본 등에서 수입해오는데, 김 대표는 원석 수급이 끊길까 봐 창고에 대량으로 쌓아뒀다. 국내에 묻혀있는 광물은 포항 지역에서 일부 나오는 뇌록석 정도다. 김 대표는 “물감 만드는 회사들도 석채를 만들려고 검토하다가 수지가 맞지 않아 관둔 거로 안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경기 양평군 가일전통안료 김현승 대표와 샘플로 모아둔 석채 원석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08년 불에 탄 숭례문 복원 재료도 여기서 댔다. 당시 문화재청이 가루 형태의 합성 안료인 분채와 아교를 사용하기로 함에 따라 김 대표는 석채 대신 일본산 분채를 수입해 공급했다. 그런데 이를 공급받은 장인이 아교가 아닌 합성접착제를 사용했던 사실이 드러나 재판에 넘겨졌다. 아교를 잘못 사용해 썩기도 했다. 동물성 단백질로 만든 접착제인 아교는 하루 사용할 만큼만 녹여 쓴 뒤 폐기해야 하는데 그걸 모른 채 여러 날 사용했기 때문이다. 아교와 분채를 섞는 비율이 잘못돼 칠이 흘러내린 곳도 있었다.

김 대표는 “석채가 없던 시기가 100년쯤 이어지면서 단청장들도 석채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아예 배우질 못한 것”이라며 “문화재청의 문화재 수리 시방서마저 합성안료와 아크릴본드를 사용한 수리법을 담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시방서가 합성안료 기준으로 만들어지면서 전통 채색이 잘 되어 있던 곳을 다 벗겨내고 합성안료로 칠한 곳도 많다”고 했다, 합성안료로 칠한 단청은 시간이 지나면 딱지처럼 떨어진다. 나무가 계절에 따라 늘어났다 수축하는 비율과 합성안료가 수축하는 비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숭례문 부실시공은 결과적으로 전통 단청과 안료 연구의 계기가 됐고, 내년에 새로 제작될 단청 시방서는 전통 안료를 기준으로 쓰일 예정이다. 김 대표는 “단청장들도 아교와 석채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해가며 전통 안료를 익히는 중인데, 빠르게 적응하고 있어서 다음 현장이 기대될 정도”라고 전했다.

그는 해외에서 안료를 주문제작(OEM)하는 사업을 하며 일본·중국 등을 다니다가 “석채를 만드는 방법은 조선왕실 의궤에 상세하게 기록이 있어서 그대로 만들기만 하면 되는데 사라져가는 게 아까워” 사업을 시작했다. 그는 “조선 중후기까지 내내 쓰이던 색들인데, 한 세대 이상 사라지면서 미술사학 연구자들도 색을 다 못 본 경우가 많았다”며 “기록대로 색을 복원한 뒤, 오방색의 과학적 분석값 등을 기록하고 분류하는 작업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석채를 만드는 일은 돌을 다루는 작업이다 보니 조선시대에도 ‘힘들고 천한 일’ 취급을 받았다고 한다. 김 대표는 “대단한 기술이나 감각이라기보단 단순 작업, 시간과 물을 쓰는 작업”이라며 “모두 수작업이라 가격이 비싸고 일반 수요가 적어 만드는 사람이 없었는데, 전통안료에 대한 관심이 조금 더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김정연 기자 kim.jeongye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