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르포] 북경한미약품 '포스트 코로나' 기술 경영 본격 발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10월 15일 오전 8시 왕징에서 출발한지 한 시간이 채 안됐을 때 승합차는 순이구 텐주(天竺) 쿵강공업구내의 북경한미약품 공장에 도착했다. 정문 안쪽 붉은 색 무대에 '스마트 자동화 창고와 시럽제 생산라인 준공식'이라는 타이틀이 눈에 들어온다.

한중 유관 기관 관계자와 기자들이 참석했지만 행사는 통역없이 현지어인 중국어로 진행됐다. 인삿말과 축사에 나선 한중 내외빈들은 한미약품의 중국 현지 경영이 한중 수교 근 30년래 대표적인 성공 케이스이고 바람직한 협력 모델이라고 입을 모았다. 창고건립과 라인 증설작업은 근 2년 가까운 코로나 기간에도 흔들림없이 추진됐다.

스마트 창고는 공장 건물 옆 9층 건물로 세워져 있었다. 책임자 설명에 따르면 이 창고는6947 평방미터 면적의 9층 규모로 9100 파렛트를 동시에 적재 보관할 수 있고 한 시간당 150 파레트를 입출고할 수 있다. 창고에는 어린이 기침 가래 감기약 이탄진 상자가 가득 쌓여져 있었다.

북경한미약품은 또한 라인증설을 통해 시럽제 의약품 생산규모를 기존 7500만 병에서 연간 3배 증가한 2억 2500만 병의 생산 시설을 갖췄다. 증설 설비에서는 기침 감기 시럽제 이탄진과 장 건강약품 마미아이, 변비약 유과당(乳果糖) 등을 같은 라인에서 생산할 수 있다.

15일 기자가 3층 건물 2층에 있는 생산 라인을 방문했을 때 라인에서는 시럽제 유과당 병에 케이스가 입혀지고 박스로 포장되는 공정이 진행되고 있었다. 박스 포장이 끝난 제품에는 로봇이 '유효기간 2023년 10월 13일'이라고 표시된 라벨을 붙이고 있었다.

코로나 19 발생 이후 산업계 뉴스는 대부분 사업 축소와 철수, 감원에 관한 내용이었다. 한국 기업중에도 코로나19 이후 근 2년간 생산 라인을 확장하는 기업은 전무하다 시피했다. 북경 한미약품의 이날 행사는 이 회사의 중국 사업이 코로나19의 그늘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확장 경영으로 대전환을 모색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뉴스핌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2021.10.17 chk@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온통 붉은 색 무대, 통역없는 현지어 행사 진행은 기자의 눈에 현지화의 척도로 느껴졌다. "전체 임직원은 모두 1200명이고 이중 한국인은 7명이예요". 현지화의 또다른 잣대인 파견직원 수를 묻자 재무팀의 임윤석 팀장은 이렇게 말했다. 영업 총감을 비롯한 임원급 고위직에도 중국인이 많다고 말했다.

북경한미약품의 현지화는 R&D 분야에서 특히 빛을 발한다. 행사에서 임해룡 총경리는 매출의 10%를 기술개발에 투자한다고 소개했다. 중국 바이오 제약기업들의 이 비율은 3~4%에 그친다. R&D 분야 직원수도 130명으로 전체 직원 1200명의 10%를 넘는다.

한미약품그룹의 베이징 진출과 현지화 경영은 고 임성기 회장의 지휘와 경영철학으로 견고히 추진돼왔다. 고 임 회장은 수교 5년전인 1980년 대 말 부터 비즈니스를 위해 중국을 오갔고 수출 영업으로 자금과 현지 의약품 시장 노하우를 축적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장 진출을 하게됐다.

장호원 부 총경리는 "북경한미약품은 생산과 영업에 이어 R&D 센터에 이르기 까지 일찌감치 완벽한 현지화 경영 체제를 갖췄다"고 밝혔다. 한미약품 그룹은 2008년 8월 당시 임 회장 지시로 베이징 현지에 연구소를 건립, 신약 신물질에 대한 연구를 시작헸다.

북경한미약품 연구센터 이경우 소장은 한미약품의 현지화 기술경영은 어떤 다국적 제약기업들에 비해 결코 뒤쳐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경우 소장에 따르면 북경한미약품 연구센터는 바이오 신약개발에 집중, 자체 개발 신약 플랫폼 기술인 '펜탐바디'를 통해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펜탐바디에 대해 이소장은 항체가 면역세포및 암세포의 두개 타킷 단백질에 동시 작용토록하는 이중 항체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북경한미약품은 현지화 기술 경영에 대한 이런 집념 덕분에 유산균 정장제와 기침 감기약 등 어린이 의약품과 소아과 시장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양대 톱 브랜드를 구축하게 됐다. 2020년 기준 어린이 유산균 정장제 마미아이(媽咪愛) 매출은 약 750억원, 기침 감기약 이탄징(易坦靜) 매출은 1000억원에 달하고 있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