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무려 3000만채 집이 텅 비었다…"中 시한폭탄 터지기 직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헝다그룹의 아파트.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그룹(恒大·에버그란데) 부실 여파가 중국의 부동산시장을 덮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중국 내 고질적인 부동산 문제가 중국 경제 전체의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CNN은 15일(현지시간) '유령 도시들: 헝다 위기, 수백만에 달하는 중국 빈집들을 조명하다' 제하 기사를 통해 중국 전역에 미분양된 아파트가 3000만채로 추정된다며, 8000만명 정도가 살 수 있는 물량이라고 보도했다. 남한과 북한의 인구 합 7700만명(2019년 기준)보다 많으며, 독일 전체 인구와 맞먹는 수준이다.

이 같은 분석을 한 영국의 독립 거시경제 연구기관 '캐피털 이코노믹스' 마크 윌리엄스 아시아담당 이코노미스트는 방송에서 미분양아파트와 별개로, 분양됐지만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 아파트도 1억 채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분양된 빈집은 2억6000만 명이 살 수 있는 규모다. 이 같은 부동산 과잉 공급으로 집은 있지만,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유령 마을'이 속속 늘어나고 있다.

방송은 중국이 과거 수십 년간 부동산 시장 성장을 동력 삼아 초고속 경제 성장을 일궈왔다는 것을 문제로 지적했다.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앞다퉈 건설프로젝트에 뛰어들면서 막대한 채무를 끌어들인 만큼 시장이 얼어붙는 경우 연쇄 부실화 우려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내 채무가 가장 많은 부동산 개발업체가 바로 헝다였는데, 부채 규모가 3000억 달러(약 355조원)에 이른다.

방송은 최근 며칠 내 중국의 부동산 업체들이 '현금 흐름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줄줄이 공개했다고 전했다. 이들 기업은 채권자들에게 채무 상환 기일을 연장해달라고 요청하거나, 채무 불이행 가능성까지 경고하고 나섰다고 한다.

윌리엄스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주택 자산 수요는 지속적인 감소세에 진입했다. 이것이 헝다 사태의 뿌리"라며 "'하이 레버리지'(고 차입) 형태의 다른 부동산 개발 업체도 (이런 상황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아직 완공되지 않은 건설프로젝트도 부실을 키울 수 있다고 방송은 지적했다. 통상 중국의 신규 부동산 자산 중 약 90%는 완공되기 전에 매매가 완료되는데, 부동산 개발 업체가 위기를 맞으면 충격이 부동산 구매자들에게 그대로 전해질 수 있다.

최근 미국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이번 사태의 진원지인 헝다가 아직도 구매자에게 주택 20만 채를 인도하지 못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중국은 이 같은 문제점을 부인하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 관계자는 "중국 내 부동산 시장의 토지·주택 가격과 기대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며 "대부분 부동산 업체들은 원활히 운영되고 있고, 재무 지표도 튼튼하다. 부동산 산업은 전반적으로 건강하다"고 주장했다.

고석현 기자 ko.sukhy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