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치킨 한마리에 7천원 내라니” 온동네 배달료 인상에 ‘아우성’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123r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배달대행사까지 배달료를 올리는데…음식값 올리는 것 외엔 방법이 없죠.”

쿠팡이츠에서 시작해 배달의민족까지 뛰어든 ‘단건배달’의 여파가 배달대행사로 이어지고 있다. ‘한 번에 한 집 배달’ 보편화로 배달기사 확보가 치열해지자 대행사까지 배달료를 인상한 것이다.

자영업자와 소비자들은 “단건배달이 주범”이라며 아우성이다. 빠른 속도도 좋지만, 무리한 단건배달 보편화는 오히려 물가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헤럴드경제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배달업계는 라이더 확보 ‘전쟁’ 중이다. 자영업자들에 따르면, 최근 서울 광진구의 한 배달대행사는 기본 배달료를 기존 3300원에서 4000원으로 인상했다. 주말 요금은 4500원까지 올랐다.

하남의 한 업체는 기존 3500원에서 4500원으로, 수원의 다른 업체도 기존 3500원에서 4000원으로 기본 요금을 인상했다. 업체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평균 500~1000원씩 올랐다.

한 배달대행사는 인상문에 “최근 들어 쿠팡 및 배민 쪽으로 기사 이탈과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대행료를 500원 올린다”며 “쿠팡이츠 기사 배달료 평균 4700원, 배민원 기사 배달료 평균 4500원이지만 기존 일반 배달대행 배달료는 3500원이다”라고 설명했다.

배달 대행료 인상에 자영업자들의 한숨은 늘어났다. 음식 단가가 낮을수록 손해도 크다. 1만6000원짜리 치킨 한마리를 판매할때 최대 7000원 가량이 배달료로 나갈 수도 있다. 하지만 주문이 적어질까 하는 우려에 음식값이나 소비자부담 배달료를 올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서울에서 치킨집을 운영하고 있는 정 모씨는 “이렇게 배달료가 다 오르면 결국 음식값을 올리는 것 외엔 방법이 없다”며 “하지만 경쟁이 치열한 상권에서는 1000원, 2000원 차이가 크기 때문에 쉽사리 배달료도 올리지 못한다”고 토로했다.

헤럴드경제

[123r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배달대행사들의 배달료 인상을 이해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쿠팡이츠와 배민원의 경우 한집에 한건만 배달하는 ‘단건배달’ 이지만, 일반 대행은 여러 건을 묶어 배달한다. 그럼에도 단건배달과 같은 수준의 배달료를 받는 건 불합리하다는 주장이다.

업계에서는 배달대행사를 포함한 전반적인 배달료 인상은 필연적이었단 분석한다. 올해부터 보편화된 단건배달 때문이다.

2019년 쿠팡이츠가 처음 도입한 단건배달은 올해 초 배민이 도입하면서 업계 전반에 보편화됐다. 기존 묶음 배달보다 빠른 ‘30분 내 배달’이란 장점이 있지만, 1명이 한 번에 한 건만 배달할 수 있기에 과거보다 더 많은 기사가 필요해졌다.

헤럴드경제

그러나 기사 수급에는 한계가 있어 업체간 출혈 경쟁이 벌어졌다. 배민과 쿠팡이츠가 프로모션 등으로 ‘라이더 모시기’에 나서면서 일반 대행사도 배달기사 확보를 위해 배달료를 인상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같은 ‘배달료 인상 도미노’에 일각에선 단건배달의 가능성 및 필요성을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기사 수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배달료 및 음식값 상승은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빠른 속도 보단 적정한 수준의 배달료가 더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배달업계 관계자는 “처음 단건배달 도입 시 우려했던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며 “투명하고 명확한 AI 배차 등 기술 고도화를 통해 기존 묶음 배달의 속도를 높이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jakmee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