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서울 빌라 시장 '몸테크' 열풍…아파트 거래량 9개월째 추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파트값 치솟자 저렴한 빌라로…재개발 활성화 정책도 한몫

청약 가점 낮은 2030, 실거주와 투자 겸해 구축 빌라로

빌라 활황에 중위 매매가격 4년 전 아파트 가격으로 올라

아시아경제

서울 양천구 한 건물에서 바라본 빌라촌 모습. /문호남 기자 munon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서울 빌라(연립·다세대) 열풍이 지속되면서 매매 거래량이 아파트의 2배로 치솟았다. 아파트 가격 급등에 대체재를 찾는 실수요자가 늘어남과 동시에 서울시와 정부의 적극적 재개발 정책으로 투자 수요가 확대된 결과다. 특히 자금여력이 충분치 않은 2030세대는 실거주·투자를 겸한 일명 '몸테크'에 나서고 있다. 몸테크란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노후 주택에서 재개발이나 재건축을 노리며 거주하는 재테크 방식을 일컫는 신조어다.

2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9월 빌라 매매 거래량은 현재까지 1888건으로 집계된다. 이는 아파트 매매 거래량 944건의 2배 규모다. 주택거래 신고일이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인 만큼 9월 매매 건수는 더 올라가겠지만, 빌라나 아파트 거래 모두 같은 시점을 기준으로 비교한 것이어서 추세는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통상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빌라 매매 거래량보다 월간 기준으로 2∼3배까지도 많았다. 그러나 올해는 이례적이게도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 연속 거래량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파트값이 급등하고 전셋값마저 크게 뛰자 발등에 불이 떨어진 내 집 마련 수요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빌라 매입을 서두르면서 거래량 역전 현상이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와 정부가 재개발 활성화 정책을 펼치는 것 역시 빌라 시장으로 투자 수요를 끌어들이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청약 가점이 낮은 2030세대 중에서는 경기도와 인천의 3기 신도시 청약을 기다리는 대신 서울 초기 재개발 구역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이들도 있다. 당분간 낡은 집에 살더라도 재개발 후 신축 아파트 입주를 위해 몸테크를 마다하지 않는 것이다.

아시아경제

서울 양천구 한 빌라촌 모습. /문호남 기자 munon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빌라 수요 급증에 따라 실거래가 역시 가파르게 치솟는 중이다. 부동산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빌라의 3.3㎡당 중위 매매가는 2038만원을 기록했다. 서울 빌라 중위 매매가는 지난 3월과 4월만 하더라도 3.3㎡당 1800만원대로, 2019년 말과 비슷했다. 하지만 5월 들어 3.3㎡당 1960만원으로 치솟은 후 두 달 만에 3.3㎡당 2000만원을 넘어섰다. 2017년 2월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가 3.3㎡당 2007만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4년 전 아파트 수준만큼 빌라 가격이 오른 것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최근 서울 빌라 가격 급등과 수도권 중저가 아파트 상승세는 서울 아파트의 대체재인 빌라와 수도권 아파트로의 매입 수요 확산과 정부의 공공재개발과 서울시의 재정비사업 적극 추진으로 인한 용산, 송파 등 우수한 입지의 재개발 기대감이 합쳐진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빌라 시장 호황에 따라 서민 주거 안정이 위협받고 전월세 시장이 불안해지는 등 각종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위원은 "재개발은 사업 단계에서 정책과 이해관계인에 따른 변수가 많아 사업 기간과 수익성을 보장하기가 어렵다"면서 "빠른 재개발 사업 추진을 기대하는 패닉바잉 등의 추격매수도 종종 있는데 거주를 전제로 하지 않는 묻지마식 매입은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재개발을 기대하는 빌라 거래는 곧 철거될 주택을 매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월세 시장의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수도권 지역의 전월세 주택공급과 가격 안정화 대안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