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중고생 맞혀도 괜찮나” 자율접종에 학부모 불안…전문가 “이익 더 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백신 접종 기다리는 고3 수험생들. 사진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은평구에 사는 전상균 씨(60)는 중학교 1학년생인 막내아들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힐 지를 두고 고민이 크다. 정부의 4분기 백신 접종 계획에 따라 11월부터 12세 이상 청소년도 백신을 맞을 수 있게 됐지만 전 씨는 아들에게 백신을 맞히자니 불안감이 앞선다고 했다. 전 씨와 아내, 성인인 딸 두 명은 모두 백신을 맞았다.

전 씨는 “심근염 같은 부작용이 성인에게는 단순 염증이어도 성장기 청소년한테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르지 않느냐”며 “그렇다고 백신을 맞지 않으면 아들이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라고 했다.

방역당국은 27일 소아·청소년(12~17세)과 임신부 등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계획을 발표하면서 접종 여부를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했다. 그러자 학생과 학부모들 사이에선 “빠른 일상 복귀를 위해 백신을 맞겠다”는 의견과 “백신 부작용 우려가 커 안 맞는 게 낫다”는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경기 파주시에 사는 김모 씨(46)는 “최근 일일 확진자가 3000명이 넘는 날도 있어 중2인 딸을 학교에 보내고 싶지 않을 정도로 불안한 상황”이라며 “백신을 맞으면 일단 예방효과가 있고 설사 돌파감염이 되더라도 중증으로 가지는 않을 테니 아이에게 백신을 맞힐 생각”이라고 했다.

강원 철원군 A 중학교에 재학 중인 이모 양(15)은 “올 초부터 매일 등교하고 있는데 마스크 착용이나 손소독 같은 개인 방역만으로는 언제든 감염될 수 있다고 느껴져 불안했다”며 “그렇다고 비대면 수업을 하면 생활패턴도 불규칙해지고 공부에 집중이 잘 안 돼 얼른 백신을 맞고 마음 편히 등교하고 싶다”고 말했다.

반면 미성년자의 경우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 가거나 사망하는 비율이 매우 낮고, 백신의 안전성이 아직 충분히 검증되지 않아 당장은 접종하지 않겠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경기 고양시에서 중학교 1학년 자녀를 키우는 김모 씨(45)는 “아이들은 코로나19에 걸려도 크게 아프지 않은데다 활동범위도 성인보다 좁아 다른 곳으로 코로나를 전파하지 않는다고 본다”며 “그에 반해 백신 부작용은 고령층보다 젊은층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고 하니 아이에게 백신을 맞히기가 부담 된다”고 했다.

교사들도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인천의 B 중학교 교사는 “어제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했더니 백신을 맞겠다는 학생과 안 맞겠다는 학생이 정확히 반씩 나왔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만약 백신을 안 맞은 학생들이 확진돼 등교 중단 사태가 벌어지면 미접종 학생들이 비난을 받게 될 수도 있다. 백신 접종을 두고 학생들 간에 편가르기가 생기지는 않을까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청소년의 경우도 백신 접종으로 생기는 이익이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 생기는 위험보다 크다고 조언한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국내 고3 수험생 44만 여 명 대상 접종 데이터를 근거로 볼 때 백신 접종을 통한 이익이 위험보다 크다”며 “다만 연령 차이에 따라 접종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초·중학생의 경우 접종 후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기호 연세대 의대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현재 20대 환자 중에서도 중증 환자가 늘고 있고 10대에서도 중증 환자가 늘어날 수 있는 만큼 예방적 차원에서의 백신 접종은 필요하다”고 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28일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학생들의 경우 부작용 때문에 (접종을) 꺼리는 경향이 없지 않지만 먼저 접종한 고교 3학년에서는 백신 접종이 확연하게 코로나19 감염을 막았다”며 백신 접종을 권유했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
이민준 인턴기자 고려대 한국사학과 4학년
김성준 인턴기자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졸업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