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공유 킥보드 탈 때 97% '노 헬멧'…'2인 탑승'도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전동 킥보드를 타면 범칙금 2만원이 부과된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 5월부터 전동 킥보드를 탈 때는 헬멧을 반드시 쓰도록 법으로 의무화됐지만 상당수 이용자는 지키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5월 초부터 한 달여 간 서울 지역 10개 지하철역 주변에서 전동킥보드를 타는 87명(공유 킥보드 64명ㆍ개인 킥보드 23명)을 대상으로 이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 결과 공유 킥보드 이용자 64명 가운데 안전모를 쓴 사람은 단 2명, 3%에 불과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동킥보드를 타다가 사고가 나면 머리나 얼굴을 다칠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최근 3년간(2018년~2021년6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등록된 위해 사례는 총 1708건으로 매년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신체상해가 확인된 위해 사례 1458건 중 머리ㆍ얼굴 부위를 다친 사례가 756건(51.9%)으로 가장 많았고, 이 중 심각한 부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머리ㆍ뇌' 상해 사례가 10.8%(157건)를 차지했습니다.

JTBC

〈자료=한국소비자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동킥보드를 탈 때 반드시 안전모 등의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하는 이유인데요.

지난 5월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면서 안전모를 쓰지 않은 이용자에게는 범칙금 2만원이 부과됩니다.

그러나 실태조사 결과 12개 공유서비스 사업자 중 뉴런과 알파카, 2개 사업자만 안전모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소비자원은 ”이 외에도 보도ㆍ횡단보도 주행, 2명 이상 탑승, 주행 중 휴대전화 사용 등 보행자와 주변 차량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며 ”공유서비스 사업자가 이용자의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하고 시행하도록 점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소비자원은 서울 주요 지하철역 주변 40개 지점에서 전동킥보드 주ㆍ정차로 인한 통행 및 시설 이용 방해 사례 673건도 분석했는데요.

그 결과 점자 보도블록이나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세워 교통약자를 포함한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는 사례가 57%를 차지했습니다.

차도나 대중교통 승강장 등에 세워 차량흐름을 방해하는 사례는 31%, 소방시설과 같은 주요 안전시설을 방해하는 사례는 12%였습니다.

소비자원은 “서비스 이용 전과 후 거리에 세워진 공유 전동킥보드를 관리하기 위해 표준화된 주ㆍ정차 제한구역을 설정하고 실질적이고 일관된 행정 조치가 가능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송지혜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