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코로나·홍수·규제·헝다·전력난…바람잘날 없는 中, 성장률 뚝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베이징(중국)=김지산 기자] [경직된 체제, 서방과 대결 장기화에 구조적 한계 노출]

머니투데이

중국이 사상 최악의 전력난을 겪으면서 글로벌 기관들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끌어내리고 있다. 중국은 이미 하반기 들어 코로나19 재확산과 홍수, 경제·사회 전분야에 걸친 강력한 규제, 여기에 헝다 부실 등 악재들에 둘러싸인 상황이다.

문제는 홍수나 헝다 같은 돌발 변수가 아닌 경직된 체제와 서방 세계를 상대로 한 대결국면 등이 뒤엉켜 구조화되고 경제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28일 골드만삭스는 '상당한 하방 압력'이 발생했다며 중국의 연간 GDP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8.2%에서 7.8%로 낮춰 잡았다. 골드만삭스는 그 배경으로 "중국 산업의 44%가 전력난 영향을 받아 3분기 성장률이 1%p, 4분기 2%p 하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골드만삭스에 앞서 최근 노무라증권도 중국의 3,4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5.1%에서 4.7%로, 4.4%에서 3.0%로 끌어 내리면서 연간 전망치를 8.2%에서 7.7%로 조정했다. 모건스탠리 역시 중국 내 생산 차질이 장기화 될 경우 4분기 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 상태다.

중국 전력난의 주 원인인 석탄 부족 현상이 이번 겨울로 끝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매우 낮다. 수입 석탄의 약 57%를 차지하던 호주와 단기간 내 관계 정상화 가능성이 희박해서다. 쿼드(Quad; 미국, 인도, 호주, 일본)에 더해 얼마 전 오커스(AUKUS: 미국, 영국, 호주)까지 출범하면서 중국이 호주에 화해의 손을 내밀 명분이 없다.

일종의 정치적 장애물이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는 "중국의 진짜 위기는 헝다 사태가 아니라 전력난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헝다의 경우 부채가 중국 은행권 총부채의 0.3% 정도여서 통제가 가능한 반면 전력난은 돌파구를 찾기 어려울 거라고도 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치 슬로건 '공동부유'도 성장에 우선한다. 부의 배분에 초점을 두고 빅테크 규제, 사교육 금지, 연예계 정화 운동 등 일련의 조치들이 이뤄지고 있다.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을 결정할 내년 10월 제20회 공산당 당대회를 의식한 행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로 인해 기업 활동이 위축되고 혁신 정신은 도태되며 투자와 고용,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소지가 크다.

머니투데이

중국 동북지역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자 차량 불빛으로 가게를 비추고 있다./사진=웨이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조지 소로스 소로드펀드 및 오픈소사이어티 회장은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를 통해 "시 주석이 시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지 못해 기업을 과도하게 규제하고 이런 조치들이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혹평한 바 있다.

'제로 코로나' 방역 콤플렉스 역시 중국 경제의 짐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중국은 세계적으로 드물게 코로나 방역에 성공하면서 지난해 2.2% 성장률을 기록, 세계의 부러움을 샀다. 그러나 오늘날 완전 방역을 원칙으로 한 광범위한 봉쇄는 GDP 성장률을 훼손하는 핵심 변수가 돼버렸다. 실제 지난 7월 중국에서 코로나가 재유행하자 JP모간(9.1%→8.9%), 모건스탠리(8.6%→8.3%) 등은 줄줄이 전망치를 하향조정 했다.

각국이 위드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지만 단기간 내 중국이 방역 원칙을 바꿀 여지는 크지 않다. 당장 베이징 동계 올림픽과 시진핑 주석의 3연임 도전에 앞서 고삐를 늦출 가능성은 낮다. 이동 제한과 지역 봉쇄, 성장률 저하 현상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S&P 글로벌 레이팅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기업의 레버리지 증가와 유동성 긴축, 자금 상황의 불안정 등이 심화되고 있는데, 이 모든 현상은 전례 없는 재난과 규제 조치 속에 일어나고 있다"며 "제로 코로나 정책은 신용 등급이 나쁜 기업들에 추가적인 부담을 가중 시킨다"고 분석했다.

곳곳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크지만 중국은 '쌍순환 경제'라는 이름의 내수 활성화 정책과 함께 내부결속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관영 신화통신은 최근 "일부 서구인들이 중국이 글로벌 성장 동력으로서 역할에 실패했다지만 아시아개발은행(ADB)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각각 중국이 연간 성장률 8.1%, 8.5%를 달성할 거라는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기관들에서 중국 경제 비관론이 쏟아져 나온 데 대한 반박이었다.

베이징(중국)=김지산 기자 sa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