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사설]전방위적 물가상승 파장, 안이하게 바라만 볼 일인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물가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다. 전년 동기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4월 이후 거의 10년 만의 최고 수준인 2%대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추가적인 물가상승 요인이 속속 불거지고 있다. 정부가 상향해 새로 설정한 올해 물가상승 방어선 2%도 이미 무너진 분위기다.

한국전력은 전기요금을 8년 만에 인상해 다음 달부터 적용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인상 폭은 킬로와트시(kWh)당 3원이다. 우유업계도 3년 만에 제품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이 가장 먼저 다음 달 1일부터 평균 5% 가격을 올리기로 했고, 남양유업 등 다른 우유업체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기간 사회서비스인 전기와 다양한 식료품 원료인 우유의 가격 인상은 연쇄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액화천연가스(LNG)의 국제가격 급등으로 도시가스 요금 인상도 임박했다. 정부는 1년 넘게 동결해온 도시가스 요금을 연내에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버스·지하철·택시 등 대중 교통과 철도 요금, 고속도로 통행료, 상하수도 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도 다년간 누적된 인상 요인을 안고 있다. 달걀 값이 1년 전에 비해 55%나 오르는 등 농축수산물 가격은 이미 전반적으로 크게 뛰었다. 코로나 사태 이전보다 높아진 국제 유가도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다수 서민은 그렇지 않아도 정부의 부동산 실정으로 인한 주거비 부담 가중과 코로나 사태로 인한 소득 감소에 시달려 왔다. 그런 판국에 물가상승은 엎친 데 덮친 격이 아닐 수 없다. 물가 상승은 부문 간 상호작용을 통해 기세를 점점 더 키워가는 속성을 갖고 있다. 지금 확산되고 있는 전방위적 물가상승은 그래서 더욱 우려스럽다. 물가상승은 국민의 가처분 소득을 잠식하고 기업의 원가 부담을 늘려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부는 지금의 물가 불안을 안이하게 봐서는 안 된다. 비효율적 수요·공급 구조와 일시적 공급애로 등 물가 자극 요인을 적극적으로 찾아내어 신속한 정책 처방으로 대처해야 한다. 서민 수요가 큰 품목들에 대한 집중적 모니터링도 필요하다. 물가관리를 느슨하게 하다간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게 될 수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