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1단계로는 해결 안돼…中헝다, 이제 어떻게 될까? [차이나는 중국]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재현 전문위원] [편집자주] 차이 나는 중국을 불편부당한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머니투데이

쉬자인 헝다그룹 회장/사진=중국 인터넷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주 초 중국 헝다그룹 부도위기로 홍콩 항셍지수가 급락하는 등 헝다 사태가 확산되고 있다. 그 주 후반 항셍지수가 반등했지만, 헝다에 여전히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약 1조9700억 위안(약 355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부채에 있다. 이는 지난해 중국 GDP의 2%에 육박하는 규모다.

홍콩증시에 상장된 헝다그룹 주요 계열사는 올해만 주가가 최대 90% 넘게 급락했다. 지난 23일 기준 중국헝다그룹은 올해 81.9% 하락한 2.67홍콩달러로 거래를 마감했고 헝다자동차는 90.4% 하락한 2.91홍콩달러, 헝다주택관리는 반토막난 4.53홍콩달러를 기록했다.

2017년 한때 중국헝다그룹 주가가 28.74홍콩달러까지 급등하며 쉬자인 헝다그룹 회장이 자산 391억 달러(약 46조원)로 중국 1위 부호 자리를 차지했던 일은 이제 아득하게 느껴진다.

지금은 그룹 모회사라고 할 수 있는 중국헝다그룹의 시가총액도 354억 홍콩달러(약 5조3100억원)로 쪼그라들었다. 파산 구조조정 절차를 밟게 되면 쉬자인 회장이 보유한 중국헝다그룹의 지분 76.7%도 휴지조각이 될 가능성이 크다.

머니투데이



중국판 대기업 구조조정은 어떻게 진행되나

향후 헝다그룹의 구조조정 과정은 어떻게 진행될까. 지난 21일 중국 중타이(中泰)증권이 발표한 '헝다그룹과 대형기업 리스크 지원정책' 보고서를 통해 중국 대기업 채무조정 절차를 살펴보자. 중타이증권은 하이난항공과 부동산 개발업체인 화샤싱푸의 사례를 인용해, 중국의 대기업 채무조정 단계를 3단계로 구분했다.

△ 1단계: 기업 자구 노력 △ 2단계: 지방정부의 유동성 제공과 신용제공 △ 3단계: 채권자협의회 설립, 기업 자산 및 채무 구조조정이다.

중국 4대항공사 중 하나인 하이난항공의 구조조정 사례를 한번 살펴보자. 하이난항공은 2015년부터 500억 달러(약 59조원)에 달하는 공격적인 해외 M&A를 추진한 후유증으로 2017년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급증한 단기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2018년부터 하이난항공은 자산매각과 조직 슬림화에 돌입했고 7개에 달하는 사업부문을 4개로 축소했다. 1단계의 기업 자구 노력이다.

머니투데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동안 진행된 자구노력에도 단기 차입금 비중이 95%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등 유동성 문제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2020년 2월 하이난성(省) 정부가 주축이 돼 중앙정부, 채권은행과 공동으로 '하이난성 하이항그룹 연합 태스크포스(T/F)'를 설립했다. 기업 자구 노력이 허사로 끝나자 2단계인 지방정부의 유동성 제공과 신용 제공 단계에 돌입한 것이다.

2021년 1월 채무가 자산총액을 초과하는 등 자력회생이 불가능한 상황이 지속되자, 하이난항공은 파산 구조조정 절차에 진입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하이난항공은 법원에 '기업파산법'에 따라 파산 구조조정을 신청했으며 채권자협의회가 구성돼 전략적 투자자를 물색하는 한편 고강도의 구조조정에 도입했다. 앞서 언급한 3단계다.

현재 상하이푸싱그룹, 하이난성 발전지주회사 등 민영·국영기업을 망라한 다수 기업이 하이난항공의 항공사·공항 등 자산 매입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상태다.

중국 대기업 구조조정은 2단계에서 지방정부가 중심이 돼 유동성을 주입하지만, 마지막 3단계에서 제값에 기업 자산을 매각할 때까지 회사경영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이 과정에서 대주주 등 주주의 지분가치는 휴지조각이 될 수밖에 없고 채권은행도 적잖은 손실이 불가피하다.


헝다 구조조정의 관건은 막대한 부채

머니투데이

헝다는 이미 1단계인 기업 자구 노력이 허사로 드러난 상황이다. 헝다의 핵심 자산은 보유 토지와 건설 중인 아파트다. 헝다 구조조정은 2단계 유동성 제공과 3단계 자산 및 채무 구조조정을 통해, 보유 토지를 제값에 매각하고 이미 분양한 아파트를 완공함으로써 시장 혼란을 최소화하는 게 핵심이 될 것이다.

헝다가 하이난항공과 다른 점이 있다. 바로 지난 6월말 기준 1조9700억 위안(약 355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부채다. 부채비율만 480%에 달할 정도다. 중타이증권은 헝다그룹의 부채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중국 정부가 헝다 부도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했다. 만약 헝다가 파산해도 중국 금융시장에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시장을 통해서 리스크를 관리하겠지만, 시스템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다면 정부가 주도적으로 개입할 것이라는 얘기다.

어떻게 되든 헝다그룹은 공중분해될 수밖에 없다. 중국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을 역임한 리다오쿠이 칭화대 경제학과 교수도 미국 CNBC방송에서 향후 헝다가 부동산 개발, 금융, 전기차 및 기타상업부문 등 4개로 쪼개질 것으로 내다봤다.

헝다 사태로 인해 중국 부동산개발업체들이 도미노처럼 쓰러지진 않을지, 또 중국 부동산이 폭락하지는 않을지 하는 우려가 크다. 지난 6월말 기준 헝다그룹의 장단기 차입금, 전환사채 등 이자를 지불해야 하는 유(有)이자부채 규모가 약 5700억 위안(약 103조원)에 달하고 협력업체에 지불해야 할 매입채무는 약 9500억 위안(약 171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대다수 중국 부동산개발업체는 헝다보다 재무구조가 양호하다. 중국 부동산신문이 발표한 중국 부동산업체 유이자부채 10대기업을 보면 지난 6월말 기준, 헝다의 유이자 부채가 5700억 위안(약 103조원)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보유현금은 868억 위안(약 15조6200억원)으로 유이자부채 대비 현금 비율이 15%에 불과했다.

바오리발전, 비꾸이웬 등 다른 대형 부동산업체는 이 비율이 50%에 육박했고 중국 1위 부동산업체인 완커는 무려 72%에 달했다. 헝다의 재무구조가 취약한 사실이 여실히 드러난다. 9위를 기록한 화샤싱푸는 유이자부채 대비 현금 비율이 8%에 불과하지만 이미 채무 조정 절차를 밟고 있는 상태다.

헝다 사태는 중국판 대마불사 신화가 깨지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20년 가까이 성장해 온 중국 부동산 확장시기가 종료됨을 의미하며 중국 금융시장에 시스템 리스크를 야기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김재현 전문위원 zorba0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