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물가 진정세 美 vs 전기·우유값 모두 오른 韓[뒷북경제]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8월 소비자물가 내리자

정점 지나는 것 아니냐 분석

한국은 전기요금, 우유요금 무더기 인상

물가 잡는게 정부 실력이라는데...

서울경제


한 주간 경제뉴스의 속살을 한꺼풀 벗겨보는 뒷북경제입니다.

이번주에는 별로 반갑지 않은 소식이 하나 있었습니다. 한국전력이 지난 23일 4분기 전기요금을 ㎾h당 3원 인상해서인데요. 전기요금이 오른 건 지난 2013년 11월 이후 약 8년 만입니다. 최근 국제 유가 오름세를 감안하면 지난해 7월부터 15개월째 동결중인 도시가스 요금도 조만간 오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우유 업계도 가격 인상에 나섰습니다. 우유 업계 1위인 서울우유도 우유 제품 가격을 5.4% 올렸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우유 흰 우유 1ℓ 제품 가격은 대형마트 기준 2,500원 중반에서 2,700원 안팎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앞서 원유(原乳) 가격은 지난 8월부터 1ℓ당 926원에서 21원 오른 947원으로 책정된 바 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유 값이 오르면 자연히 빵, 커피 등 관련 제품도 덩달아 뛸 수밖에 없는데요. 이미 밀가루 같은 원재료 값이 많이 올랐고 최저임금 인상 부담까지 더해져 이번 우유 가격 인상을 계기로 도미노식 가격 전가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업계 종사자들의 전망입니다.

물가에 더해 다락같이 오르는 집값·전세금 상승세도 서민들을 괴롭히고 있습니다. 지난 한 달간 집값이 얼마나 올랐는지는 독자 여러분의 정신 건강 차원에서 굳이 적지 않겠습니다.

물가상승률 추이를 보면 최근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실감할 수 있습니다. 지난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6% 올라 7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부의 물가관리 목표치는 연간 2%인데 지난 4월부터 5개월 연속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물가가 뛰면 물가를 눌러야 하는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서민들의 이자 부담이 더 커진다는 뜻입니다. 한은은 연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더 오르면 1인당 부담해야 하는 대출 이자가 평균 30만원 늘어나는 것으로 봅니다. 다중 채무자이면서 소득 하위 30%이거나 신용점수가 664점 이하인 일명 취약 차주의 이자 부담은 53만원 증가에 달해 더 고통이 커지는 구조입니다.

서울경제


앞으로 물가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이번에는 시선을 해외로 돌려보겠습니다. 미국의 상황을 보면 조심스럽지만 인플레이션 정점은 지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5.3% 올라 시장 전망치를 약간 밑돌았고 6~7월 상승률(5.4%)보다 낮아진 게 눈에 띕니다. 물론 일시적 현상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동안 물가 상승을 이끌었던 중고차와 트럭 물가 상승률이 8월 들어 전달 대비 1.5% 떨어져 하락세 전환한 것도 주목할 만한 대목입니다. 이때문에 미국의 투자은행(IB) 사이에서는 “코로나 델타변이 재확산에 따라 국내 소비 수요가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다시 우리나라로 돌아와 봅시다. 미국이 인플레 정점을 지나가고 있다는 전제 하에 우리나라 물가 상승세도 좀 둔화된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아쉽게도 전문가들의 의견은 좀 다릅니다. 이번 전기요금 인상이 그동안 정부가 억눌러왔던 공공발(發) 인플레의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령 전기요금의 경우 문재인 정부의 탈(脫) 원전 청구서가 반영되기 시작하면 본격적인 상승 랠리가 시작될 가능성이 큽니다. 정부가 이달 11조 원에 이르는 전국민 재난지원금을 뿌린 가운데 다음달부터는 상생소비지원금(카드 캐시백) 사업도 시작됩니다. 이 사업은 10월 이후 카드 결제액이 지난 4~6월 평균 결제액보다 많을 경우 최대 10만원을 포인트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보통 정부의 실력을 평가할 때 민생과 밀접한 물가를 어느 정도로 관리했느냐가 주요 지표로 봅니다. 정부가 이번에는 실력 발휘를 좀 해보길 바랍니다.

세종=서일범 기자 squiz@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