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뉴욕서 머리 맞댄 '한·미·일' 외교 수장, '대북지원·종전선언' 등 논의 (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4개월 만 개최

한반도 정세, 북핵 논의 외에도

종전선언·대북지원 방안 구체 논의

북핵 전력 증강 여부 질의에, 정의용 "물론"

아시아투데이

한·미·일 외교장관이 22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뉴욕 롯데뉴욕팰리스 호텔에서 만나 3자 회담을 진행하고 있다. 유엔 총회를 계기로 이뤄진 이날 회담에는 정의용 외교부 장관, 토니 브링컨 미국 국무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이 참석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천현빈 기자 = 한·미·일 외교 장관이 22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뉴욕에서 만나 3자 회담을 가졌다. 이날 회담에선 종전선언과 대북지원 방안 등이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됐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이날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을 만나 한반도 정세와 북핵 해법 등을 논의했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은 지난 5월 초 영국 런던서 열린 주요7개국(G7) 외교·개발장관 회의 이후 약 4개월 만이다.

외교부는 이들 외교장관이 한반도 문제와 지역·글로벌 현안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고 23일 밝혔다. 외교부는 “정 장관은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를 갖고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3국 협력 방안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회담에서 이들 장관은 최근 한반도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공유했다. 또 북한과 북핵 문제와 관해 그간 3국이 긴밀히 소통한 점을 평가했다. 이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실질적인 논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종전선언·대북지원’ 구체적으로 논의된 듯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밝힌 종전선언과 관련한 후속 논의도 있었다. 외교부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과정에서 종전선언이 중요한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미·일에 설명했다”고 밝혔다. 이날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이와 관련해 “미·일은 우리 측의 의견을 경청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종전선언과 관련한 미국의 반응에 대해 “현지 특파원과 특별히 소통하는 계기가 있을 것”이라며 “조만간 소상한 설명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진지한 외교를 추구하겠다고 밝힌 만큼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이끌 방안도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보인다. 미 국무부는 이날 한·미 외교회담 보도자료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과 관련한 협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 즉 ‘대북 공급망’에 대한 논의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인도적 대북 지원 등) 미국 측이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안다”며 “향후 구체적인 내용을 전달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지난 14일 일본을 방문해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와 구체적인 대북인도적 지원 방법에 관해 논의한 바 있다. 당시 성 김 대표는 “접근성과 모니터링 등에 대한 국제 기준만 충족된다면 미국은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영변 원자로 재가동에 대한 한·미·일, 한·미 공조 방안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정 장관은 회담 후 ‘북한의 최근 핵전력 증강에 대한 논의도 있었느냐’는 취재진의 질의에 “물론(그렇다)”이라고 답했다.

외교부는 이날 회담에 대해 “3국 장관은 지역을 넘어 기후변화, 보건 등 글로벌 현안 대응에 있어서도 3국이 공유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미래지향적이고 호혜적인 협력 방안을 계속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23일(현지시간) 뉴욕에서 모테기 일본 외무상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갖는다. 북핵 문제는 물론 과거사 갈등을 비롯한 양국 관계에 관한 의견도 오갈 것으로 보인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