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신생아부터 대학생까지’ 모든 과정 책임지고 밀착 관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동보호 전담요원의 일상은

하루 5곳 찾아 아동 ‘눈높이’ 점검

입양 전 친부모 상담도 요원들 몫

동아일보

7일 오후 4시경 충남 천안시의 한 공동생활가정을 찾은 ‘아동보호 전담요원’ 이다슬(오른쪽), 이화정(오른쪽에서 두 번째) 씨. 이곳에 살고 있는 대학생 성재(가명·왼쪽에서 두 번째) 씨에게 대학생활에 어려움은 없는지 등을 살펴 물었다. 보건복지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진혁이(가명) 키 많이 컸네!”

7일 오후 3시경 충남 천안시에 사는 초등학교 2학년 진혁이 집을 방문한 이다슬(27·여) 이화정 씨(32·여)가 반가운 목소리로 말했다. 진혁이는 부모님의 부재로 할머니가 양육하고 있는 아이다. 이들은 천안시 소속 ‘아동보호 전담요원’. 진혁이처럼 원 가정에서 분리돼 보호 중인 아동을 분기마다 한 번씩 방문한다.

전담요원 다슬, 화정 씨는 진혁이, 진혁이 할머니와 식탁에 둘러앉아 30분 남짓 근황을 물었다. 요즘도 받아쓰기 백점 맞는지, 태권도 학원은 잘 다니는지, 여전히 장래희망은 ‘목사님’인지 꼼꼼하게 물었다. 할머니 상담도 함께 진행했다. 디딤씨앗통장(아동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같은 금액을 지급하는 계좌)은 가입했는지, 1년에 한 번 진행하는 위탁부모 교육 일정은 챙겼는지 확인했다. 상담을 마치고 집을 나서던 다슬 씨는 “다음에 만날 땐 여기까지 커 있자!”며 진혁이 머리 위 한 뼘 높이에 손바닥을 갖다 댔다. 진혁이는 폴짝 뛰어올라 다슬 씨 손바닥에 머리를 갖다 댔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지방자치단체에 아동보호 전문 인력인 ‘아동보호 전담요원’을 두고 있다. 부모 부재 등으로 보호조치가 필요한 아동에 대한 보호계획을 수립하고 보호 중 양육 상황 점검, 보호 종료 후 사후관리까지 모든 과정을 책임지고 수행한다. 9월 현재 334명이 활동 중이다.

같은 날 3시 50분경 전담요원들은 또 다른 집을 찾았다. 보호 대상 아동 5명이 함께 생활하는 공동생활가정이다. 여기선 대학교 1학년 성재(가명) 씨를 만나 비대면으로 수업과 과제를 하는 데 어려움은 없는지 물었다.

전담요원은 하루 평균 5곳을 방문해 신생아부터 대학생까지 ‘눈높이’ 점검을 진행한다. 상담 시간은 평균 30분이지만 1시간 반을 넘길 때도 있다. 다슬 씨는 “업무 부담이 크지만 제 선택이 아이들의 인생을 좌우한다고 생각하면 매 상담을 꼼꼼하게 진행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서 노인보호 전문기관에서 5년을 일했다는 화정 씨는 “제 선택이 아이들의 인생을 결정할 수 있다는 생각에 부담감과 책임감을 동시에 느낀다”고 말했다. 오후 4시 반 이들은 “목소리가 다 쉬었다”면서도 점검한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천안시청으로 복귀했다.

올해 6월 30일부터 시작된 ‘입양 전 친부모 상담’도 아동보호 전담요원의 몫이다. 앞으로 아이를 입양기관에 보내고자 하는 친부모는 지자체 아동보호 전담요원에게 상담을 받아야 한다. 아이를 직접 양육할 경우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등을 안내해 되도록 아이가 태어난 가정에서 자랄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이달 12일까지 누적 상담 건수는 약 120건.

이 중 친부모가 양육하기로 결정한 게 40건이다. 현재 아동보호 전담요원 한 명이 맡고 있는 아동은 126명에 달한다. 복지부는 전담요원을 2021년 524명(1명당 아동 80명), 2022년 715명(1명당 아동 59명)까지 늘릴 계획이다.

아동에 대한 보호조치 등 결정은 지자체 ‘사례결정위원회’가 내린다. 원가정 분리, 시설 입·퇴소처럼 수시로 발생하는 아동 관련 사안을 수시로 심의해 적시 대처하기 위해 올해 6월 출범했다. 천안시 사례결정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공계순 호서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의사 변호사 경찰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개별 아이들에게 최선의 조치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소민 기자 somi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