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국내 기업 울리는 '이메일 무역사기' 4년간 1183건…피해 막으려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속 사기 시도 증가할듯

이메일 보안관리 철저히 하고

결제계좌 변경 요청 시 전화로 확인해야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 의료 용품을 제조하는 A사는 최근 필리핀의 한 업체로부터 거래 요청이 담긴 이메일을 받았다. 메일에는 발주금액과 함께 항공 물류비를 선입금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 업체는 선입금 내용에 대한 입금증을 보내오면서 항공으로 긴급물량 배송을 요청했고, 물류비 대납을 요청했다. A사는 해당 물류비가 선입금 내용에 포함돼 있어 의심하지 않고 2800달러를 입금했다. 하지만 현지 업체가 보냈다는 수출대금과 항공 운송비는 오지 않았다. 확인 결과, 업체와 직원의 이름을 도용한 무역사기였다.

해외 진출을 모색하는 국내 기업들의 '뒤통수'를 치는 이메일 무역사기가 여전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다행히 사전에 인지할 경우 피해를 막을 수 있으나, 실제 피해로 이어지는 사례도 여전해 기업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0일 경찰청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동안 발생한 이메일 무역사기는 총 1183건이다. 연도별로는 2017년 187건에서 2018년 367건으로 급증한 뒤 2019년 305건, 지난해 324건 등 300건 이상 발생하는 추세다. 통상 이메일 무역사기를 같은 기업이 여러 번 당하는 사례가 적은 만큼 매년 국내 300개 안팎의 기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메일 무역사기의 유형도 더욱 다양해졌다. 이메일 해킹이나 현지 업체 사칭 계정을 이용하기도 하고, 가짜 웹사이트를 만들거나 청산된 법인을 범죄에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계약 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이메일 무역사기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이메일 무역사기 건수가 2019년 감소했다가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지난해 오히려 증가했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

이메일 무역사기를 막으려면 우선 해외 업체와 연락 시 보안프로그램이 설치된 회사 PC를 사용하고, 비밀번호는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 출처를 알 수 없는 이메일은 확인하지 말고 삭제하는 한편, 해킹을 막기 위해 아이디와 비밀번호 외에 휴대전화인증·일회용비밀번호(OTP) 등 인증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해외 바이어가 사용하는 이메일 계정도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먼저 회사 메일을 사용하는지 확인하고, 계정이 올바른지도 살펴봐야 한다. 해외 바이어를 신뢰할 수 있는지 각종 증명서류 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나라별 주요 무역사기 사례와 대처법도 거래 전에 미리 숙지해 놓는다면 피해를 막을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

경찰 관계자는 "이메일을 통해 결제계좌 변경 요청 시 반드시 전화나 팩스 등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계약서를 작성할 때는 지불받은 계좌번호를 미리 지정해야 한다"며 "한국무역협회, 코트라(KOTRA) 등 관계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사기를 막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