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희토류’ 자원 전쟁 맞서는 韓 기술력···LG이노텍, 친환경 자석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력 높여 중희토류 사용량 60%줄여

성림첨단산업과 공동 개발 성공

차량 모터·스마트폰 카메라에 탑재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중국이 반도체·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로 쓰는 지하 자원 ‘희토류’를 무기화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세계 최대 생산국 중국이 수출 제한 등 조치를 꺼내면 수급 불안으로 관련 산업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 각국이 대응 마련에 분주한 가운데 LG이노텍이 희토류 사용량을 최대 60%까지 줄일 친환경 자석을 내놓는 등 신기술이 잇따라 결실을 맺고 있다.

20일 관련업계와 정부 등에 따르면 희토류는 반도체 연마제나 석유화학 촉매, 전기차 모터, 풍력발전 터빈 제조에 쓰이는 핵심 원료로 글로벌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 70% 이상을 장악해 글로벌 시장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우리나라 역시 희토류 절반 이상을 중국에 의존한다.

서울경제


문제는 최근 미중 갈등과 맞물려 중국의 희토류 통제 수위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기업들이 잇달아 미국의 제재를 받으면서 중국이 미국에 타격을 주기 위해 희토류 수출제한 카드를 활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지속적으로 나온다. 실제 중국은 지난 1월 희토류의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총량제 등을 포함한 법규인 ‘희토류 관리 조례’ 초안을 내놓는 등 수출제한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다지고 있다. 희토류 최대 생산국인 중국이 본격적으로 수출제한에 나설 경우 전 세계 희토류 가격이 급등해 국내 수급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정부도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캐나다와 호주 같은 대체 생산국을 찾는 방안이 거론된다. 김경훈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우리나라가 친환경 및 첨단 산업 분야에서 주도권을 가지려면 핵심 원료인 희토류를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며 “미국 등 우방국과의 협력으로 희토류 공급처 다변화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자체적으로는 희토류 사용을 줄일 첨단 기술 확보도 중요하다. 최근 LG이노텍은 국내 마그넷 전문 중소기업 성림첨단산업과 공동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자력을 지닌 친환경 마그넷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별도로 개발한 코팅액과 최적화된 소재를 활용해 자석에 들어가는 중희토류를 기존보다 60%가량 줄였다. 희토류는 적게 쓰지만 성능은 개선됐다. 차량 모터나 스마트폰용 카메라, 오디오스피커·풍력발전기 등에 탑재되는 이 제품은 자석 성능을 업계 최고 수준인 14.8kG(킬로가우스·자석 세기 단위)까지 끌어올렸는데 기존 제품의 최대 성능은 14.2~14.3kG 수준이다.

LG이노텍은 이번 신제품이 완제품의 구동력 강화와 경량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차량용 조향 모터에 적용할 경우 모터 출력을 높이면서도 차체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고화소 스마트폰용 카메라에 장착하면 액추에이터(촬영 시 초첨을 맞추기 위해 렌즈를 움직이는 부품) 구동력을 10%가량 개선할 수 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신제품은 우선 LG이노텍이 생산하는 차량용 조향 모터와 스마트폰 액추에이터 등에 적용된다. 글로벌 완성차나 차량 부품 회사, 스마트폰 제조사 등에 납품하려는 노력도 이어질 예정이다. 현재 글로벌 시장은 기술력을 앞세운 일본 기업(신에쓰·TDK·히타치메탈)과 가격 공세로 점유율을 높인 중국 기업(삼환·정해) 등이 장악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희토류 원소를 대신할 비희토류 영구자석 소재를 개발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홍순철 울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와 제자인 엇후 도르지 인천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는 지구상에 매장량이 풍부한 순철을 기반으로 한 영구자석 소재 개발 방향을 이론적으로 제시했다. 매장량이 풍부한 비희토류인 순철에 니켈을 혼합한 재료로 희토류 네오디뮴(Nd) 영구자석 못지않은 고성능 영구자석 소재를 만드는 방식이다.

/임진혁 기자 liberal@sedaily.com
임진혁 기자 liberal@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