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폭염·가뭄 탓…美 유명 설산, 만년설·빙하 융해 역대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폭염·가뭄 탓…美 유명 설산, 만년설·빙하 융해 역대 최고(사진=랜드샛 8호/USG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11번째, 캘리포니아주(州)에서 5번째로 높은 해발고도 4322m의 유명 설산인 섀스타산에 있는 만년설과 빙하가 올해 가장 많이 녹아내렸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 등 현지언론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북쪽, 캐스케이드산맥 남쪽에 있는 섀스타산의 정상은 보통 1년 내내 눈으로 뒤덮여 있지만 올해 7, 8월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만년설과 빙하가 눈에 띄게 녹아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신문

섀스타산의 연간 만년설과 빙하 감소를 보여주는 위성사진.(사진=랜드샛 8호/USG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현지 전문가들은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으로 올해 초에는 정상에 거의 눈이 내리지 않아 이미 위험에 처한 빙하의 녹는 속도가 빨라졌다고 지적했다.

섀스타산에는 캘리포니아주에서 가장 큰 휘트니 빙하가 있는데 이런 빙하를 조사하는 노스캐스케이드 빙하기후 프로젝트의 책임자이자 니컬스칼리지의 빙하학자인 모리 펠토 박사는 워싱턴포스트에 “7월 중순까지 만년설이 줄어들어 빙하 부피는 훨씬 더 많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서울신문

2021년 8월, 만년설과 빙하가 녹아내려 헐벗은 섀스타산의 모습.(사진=섀스타산 스키공원/페이스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2008년 6월 만년설과 빙하로 뒤덮인 섀스타산의 모습.(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섀스타산이 과거 헐벗었을 때에는 늦여름이나 심지어 가을에도 눈이 녹아내리긴 했었다. 하지만 펠토 박사는 “9월 말 며칠 동안이 아니라 지난 두 달간 얼마나 빨리 녹았는지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에서 남서쪽으로 약 8㎞, 해발 1000m에 있는 한 마을에 설치된 온도계는 올 여름 두 차례나 40℃에 육박한 기온을 기록했다. 심지어 산 중턱에서도 6월 말 기온은 25~29℃에 달해 휘트니 빙하의 융해 속도를 높였다.

휘트니 방하는 지난 16년간 전체 길이의 거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 약 800m의 빙하 후퇴를 경험했다. 올해에만 전체 부피의 15~20%가 줄어 두 개의 작은 빙하로 붕괴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는 전했다.

이에 대해 펠토 박사는 “오늘날 섀스타산에는 약 2.6㎢의 빙하가 남아 있다”면서 “이는 80년대 초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펠토 박사는 또 “빙하 소실이 가속하고 있어 올해는 단일 해 중 가장 큰 빙하 소실을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신문

섀스타산에 있는 빙하가 얼마나 있는지를 보여주는 위성 사진(사진=모리 펠토/트위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또 트위터를 통해 만년설과 빙하로 덮인 섀스타산을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사진을 공유하고 “이례적인 수준으로 녹아내린 섀스타산의 빙하를 보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면서 “이는 쉽게 되돌릴 수 있는 결과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섀스타 마운틴 가이드의 운영책임자이자 지질학자인 닉 케셀리 박사는 지난달 마운틴 섀스타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만년설의 엄청난 소실로 섀스타산의 서쪽은 벌거숭이가 됐다”고 말했다.

한편 만년설은 강설량이 녹는 양보다 많아서 1년 내내 남아 있는 눈으로, 빙하의 부피가 늘거나 줄어드는 데 영향을 주며, 기온이 오르면 녹아내려 개울과 강을 통해 많은 지역에 식수를 공급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