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태풍 ‘찬투’ 중급 약화…제주 관통 않고 '쓰시마섬'으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7일 새벽 제주 최근접 ‘최대 고비’…시간당 50~80㎜ 폭우 예상

파이낸셜뉴스

구만섭 제주지사 권한대행이 15일 낮 어선 250여척이 대피 중인 서귀포시 성산포항을 찾아 태풍 대비 상황을 점검했다. 2021.09.15 [제주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태풍 진로가 한반도와 좀 더 멀어졌다”

[제주=좌승훈 기자] 제14호 태풍 ‘찬투’의 진로가 좀 특이하다. 또 올해 들어 가장 강한 태풍으로 발달했다가, 지금은 세력이 중급으로 약해졌다. 진로도 북상하다 아예 남쪽으로 내려가더니, 다시 북상하면서 동쪽으로 방향을 좀 더 틀었다.

‘찬투’는 13~15일 중국 상하이 부근에서 고기압에 가로막혀 사흘째 숨 고르기를 하다가, 밤사이 편서풍을 타고 다시 북상을 시작했다. 기상청은 금요일인 17일 제주도를 관통하지 않고 동쪽 해상을 통과할 것으로 예측했다.

기상청이 15일 오후 10시에 발표한 태풍 위치와 예상 진로를 보면, ‘찬투’는 중심기압 980h㎩(헥토파스칼), 최대풍속 초속 29m, 강풍반경 280㎞의 강도 ‘중’급으로 다소 약화됐다.

‘찬투’는 16일 밤 9시 제주 서귀포시 남서쪽 140㎞ 부근 해상과 17일 오전 9시 서귀포시 동쪽 약 50㎞ 부근 해상을 거쳐 이날 오후 9시 부산 동남동쪽 약 200㎞ 부근 해상을 지날 것으로 예측됐다.

파이낸셜뉴스

기상청이 15일 오후 10시 발표한 태풍 '찬투'의 위치와 예상진로. 기상청은 17일 오전 9시 서귀포시 동쪽 약 50㎞ 부근 해상을 거쳐 이날 오후 9시 부산 동남동쪽 약 200㎞ 부근 해상을 지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라산 누적 강수량 1000㎜ 이상 될 듯

당초 기상청은 ‘찬투’가 서귀포시 서남서쪽 약 280㎞ 부근 해상을 거쳐, 17일 오후 9시 전남 여수 남남서쪽 약 60㎞ 부근 육상까지 진출할 것으로 봤다.

14일에는 부산·경남 해안을 내습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15일 예보를 보면, 태풍 진로가 한반도와 좀 더 멀어졌다. 17일 '찬투'가 제주 서귀포시 서쪽이 아닌, 동쪽 약 50㎞ 부근 해상을 빠르게 지나 같은 날 오후 9시 일본 쓰시마섬의 남쪽을 통과하는 것으로 수정됐다.

그렇다고 안심할 처지도 아니다. 이번 태풍의 최대 위험 지역은 제주도다.

강수 예측 모델을 보면, 태풍 중심부의 강한 비구름이 16일 오후 제주부터 유입돼 17일 오전에는 남부지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 기간 동안 제주에는 100~400㎜, 시간당 50~80㎜ 이상의 매우 강한 비가 이어지겠다. 이에 따라 누적된 비에 침수와 붕괴 사고 없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전남 동부와 경남 해안에도 최고 120㎜의 많은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측됐다. 충청·남부지역·강원영동은 10~60㎜이다.

■ 전남동부·경남 해안 최고 120㎜ 비 예측

특히 15일까지 700㎜ 이상 비가 내린 한라산은 추가로 내리는 비까지 더해 최대 1100㎜ 이상 매우 많은 비가 내리는 곳이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파이낸셜뉴스

제14호 태풍 찬투(CHANTHU) 영향으로 제주 전역에 강풍특보가 내려진 15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해안가에 높은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2021.09.15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람도 만만치 않다. 현재 남쪽바깥먼바다에는 태풍경보가 발효 중인 가운데, 16일 오후에는 제주도 전역이 태풍의 직접영향권에 들어 거센 비바람이 몰아칠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17일까지 제주도에 순간적으로 시속 145km 이상의 강풍이 몰아치겠고, 남부 해안가에도 바람이 강하게 불겠다고 내다봤다.

한편 제주도 최근접 시간은 서귀포시가 17일 오전 4시(태풍 중심에서 30km 거리), 이어 제주시가 오전 5시(태풍 중심에서 50km 거리)로 예상된다. 태풍의 중심은 제주도 동부(상산포·우도) 앞바다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가 제주지역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