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금은 불에 들어가는걸 두려워하지않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선시종가 1080 / 5. 금은 불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한겨레

제련. 사진 픽사베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본문 )

금불박금 ( 金不慱金 ) 이요

수불세수 ( 水不洗水 ) 라

금으로 금을 바꿀 필요가 없고

물은 물로서 씻을 필요가 없다

『 천노금강경주 ( 川老金剛經註 ) 』 라고 이름 붙였다 . 천노 ( 川老 야보도천 ) 가 동재도겸 ( 東齋道謙 ) 선사 문하에 있을 때 승가와 재가를 막론하고 몰려와서 금강경에 대해 질문하니 송 ( 頌 ) 으로써 대답한 일백여구 ( 句 ) 를 모은 것이다 . 이 선시는 금강경 제 6 정신희유분 ( 正信希有分 바른믿음은 흔치않다는 의미 ) 가운데 “ 법 아니라는 것도 취할 것이 못되지만 또 법이라는 것도 취할게 못된다 ( 不應取法 不應取非法 )” 는 것을 묻자 이렇게 게송으로 대답한 것이다 . 법 ( 法 ) 도 비법 ( 非法 ) 도 상대적인 것이므로 법이라는 것도 비법이라는 것도 모두 벗어났을 때 비로소 그게 ‘ 찐 법 ’ 이라는 의미이다 . 유사이래 지금까지 진리라고 믿고 있는 그 진리에 집착하다가 결국 그 진리에 밟혀죽는 이가 얼마나 많았던가 .

야보 ( 冶父 ) 선사는 군 ( 軍 ) 에서 궁수 ( 弓手 활쏘는 소임 ) 로 근무했다 . 어느 날 도겸선사를 찾아가 참선에 몰두하다가 본의 아니게 소임지 이탈이라는 죄를 범하게 되었다 . 잡혀 와서 곤장을 맞는 순간 크게 느낀 바 있어 사직하고 출가했다 . 속명은 적삼 ( 狄三 ) 이다 . 적 ( 狄 ) 은 북방 유목민을 얕잡아 부르는 말이다 . 즉 ‘ 유목민 같은 놈 ’ 이라는 의미일수도 있겠다 . 본관이 곤산 ( 崑山 곤륜산맥 ) 이니 유목민의 후예일 것이다 . 도겸스님은 도천 ( 道川 ) 이란 법명을 내리면서 “ 천 ( 川 ) 은 곧 삼 ( 三 ) 이다 . 열심히 수행하면 도 ( 道 ) 가 시냇물처럼 늘어나 도천 ( 道川 ) 이 되겠지만 만약 게으름을 피우면 그대로 드러누운 오랑캐 같은적삼 ( 狄三 ) 이 될 것이다 .” 라고 당부했다 . 열심히 수행하여 뒷날 야보산 ( 안휘성 ) 실제 ( 實際 ) 선원 조실로 추대되었다 . 송나라 임제종 승려로 생몰연대는 자세하지 않다 . 하지만 남긴 게송은 선시의 금자탑이다 . 또 선시 ( 禪詩 ) 작가 가운데 최고봉이라 하겠다 .

한겨레

호도협 트레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해설 )

중국 운남 ( 雲南 윈난 ) 성 호도협 ( 虎逃峽 호랑이가 뛰어서 건널 수 있을 정도의 좁은 협곡 ) 사이를 흐르는 강이름은 금사강 ( 金沙江 ) 이다 . 호도협이란 이름이 남성적이라면 금사강은 여성적이라 하겠다 . 양 ( 陽 ) 과 음 ( 陰 ) 의 조화가 어우러진 중도 ( 中道 ) 의 이상적 공간은 옛적에는 차마고도의 마방들이 그리고 현재는 트래킹을 좋아하는 무리들의 길이 되었다 . 리장고성 ( 麗江古城 ) 시가지에 펄럭이는 민속공연장의 광고깃발은 ‘ 여수금사 ( 麗水金沙 )’ 였다 . 여수 ( 麗水 맑은 물 ) 가 음이라면 금사 ( 金沙 금모래 ) 는 양이 된다 . 상류의 금사는 음 ( 陰 ) 이 되었다가 하류의 금사는 다시 양 ( 陽 ) 이 되었다 . 이렇게 음과 양은 언제나 변할 수 있는 상대적인 것이다 . 그렇다고 해서 상류의 금사와 하류의 금사가 다른 것도 아니다 . 주변의 조건이 어떻게 바뀌느냐 따라서 자기색깔도 함께 바뀌는 것이다 .

화엄종의 완성자인 당나라 현수법장 (643~712) 은 측천무후 (624~705) 에게 금사자 비유를 통하여 이런 관계성에 대하여 ‘ 금사자는 절도범에게는 사자의 형상은 보이지 않고 오직 금으로만 보인다 . 조각가 등 예술가에는 금은 보이지 않고 오직 사자의 예술적 완성도만 보인다 .’ 라는 비유로 쉽게 잘 설명했다 . 발굴지에서 사리 ( 舍利 ) 는 보이지 않고 사라함만 보이는 고고학자와는 달리 사리함은 보이지 않고 오직 사리만 궁금한 종교인과 비슷한 경우라고 하겠다 . 금은 자기를 고집하지 않는다 . 금거북도 되고 금돼지도 되고 행운의 열쇠도 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런 형상을 통해서 금의 존재를 인지하게 된다 . 그리고 금은 광산에서만 고체상태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 물에서 사금으로 채취할 때는 고체라기보다는 액체에 가깝다 하겠다 . 못쓰는 컴퓨터 등 전자제품을 수집하여 금을 추출하기도 한다 . 따라서 금광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금이 나오는 곳은 모두 금광이라고 하겠다 .

한겨레

금사강


석두희천 (700~790) 선사는 진금포 ( 眞金鋪 ) 를 지향했다 . 하지만 금괴만을 취급하는 명품가게에는 손님이 별로 없었다 . 순일무잡한 고고한 선풍은 본래 대중적일 수 없는 일이다 . 근본주의로 선종의 원칙을 제시하는 것으로 만족했다 . 마조도일 (709~788) 선사는 잡화포 ( 雜貨鋪 ) 를 표방했다 . 순금 뿐만 아니라 금박 금가루 심지어 도금용 가짜금까지 팔았다 . 그래서 늘 사람이 끊어지지 않았다 . 많은 방편이 함께 했기 때문이다 . 뒷날 마조의 제자들이 중국선종계의 주류가 된다 .

도반이 아끼는 다기가 깨져 다시 수리를 했다면서 차를 다려 내놓는다 . 깨진 곳을 감쪽같이 떼운 것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였다 . 틈새를 금으로 메운 것이다 . 금이 숨어있는 것이 아니라 보란 듯이 자기를 드러내면서 금과 도자기가 잘 어우러지는 묘한 광경을 연출했다 . 긴즈끼 ( 金繼 ぎ ) 라고 했다 . 그릇의 부서진 부분을 금을 이용하여 접착시키고 원래그릇보다 훨씬 더 멋진 그릇으로 재탄생시키는 일이다 . 이 역시 금이 “ 나는 금이다 .” 라고 하는 고유성에 집착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

진금불파화련 ( 眞金不怕火煉 ) 이라고 했던가 . 진짜금은 불 속 단련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

글 원철 스님 / 불교사회연구소장

*** 이 시리즈는 대우재단 대우꿈동산과 함께 합니다 .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