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하재주 원자력학회장 “폭염에 재가동한 원전…가장 효율적인 에너지원 입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탈원전 정책은 '토법고로'···무리하면 탈나는 것

신재생에너지 필요하나 간헐성·폐기물 문제 심해질것

신한울 3·4호기 재가동 시급···원자력계도 신뢰 쌓아야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이번 폭염에 따라 정부가 원전 3기의 정비 일정을 앞당긴 것은 원자력이 효율적인 국가 에너지원임을 입증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재주 한국원자력학회장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화재로 정비하던 신월성 1호기, 신고리 4호기, 월성 3호기의 재가동 일정을 앞당긴 것과 관련해 이같이 설명했다.

하 학회장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급하게 늘리면서 발생한 극히 일부 문제이며, 앞으로 부작용이 속출할 것”이라며 “단순히 원자력이 싫다고 비판만 할 부분이 아니라 앞으로 국가적으로 전력 수요가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전기를 충분히 공급하고,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만들 효율적인 ‘국가 에너지 믹스’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하 학회장은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주요 보직을 역임한 뒤 경제협력개발기구 산하 원자력기구(OECD NEA)에서 원자력개발국장을 역임했다. 이후 원자력연 원장으로 부임했으나 중도 사퇴, 현재 원자력학회장과 대덕원자력포럼 회장을 맡고 있다.

이데일리

하재주 한국원자력학회장.(사진=한국원자력학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탈원전 정책은 ‘토법고로’…정부정책 기조 변화 없어

지난 5월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 양국이 원자력 수출 등에서 협력하기로 한데 이어 지난달에는 원자력연의 제2분원이라 할 수 있는 문무대왕연구소가 개소했다. 때문에 정부 탈원전 정책 기조에 변화가 생겼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하 학회장은 정부의 원자력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일부 있지만 탈원전 정책 변경은 아니라는 견해를 보였다.

하 학회장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토법고로(土法高爐)’에 비유했다. 탄소중립이 목적이고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등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인데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와 탈원전이 목적이 되어 버렸고, 결과적으로 에너지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탄소중립도 경제성도 전력망의 안정성도 담보하지 못하는 황당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것이다.

특히 태양광·풍력의 급격한 확대는 간헐성으로 인한 전력망의 안정성과 향후 폐기물 처리 문제를 매우 심화시킬 것이다고 주장했다.

하 학회장은 “8MW의 풍력으로 원전 1기(APR1400)를 대체하려면 단순 계산으로 발전기 175기가 있어야 하고, 효율·날개 수명 등이 원전의 3분의 1 수준이기 때문에 9배 더 든다고 가정하면 총 1575기가 필요하다”며 “현재로선 탄소섬유와 에폭시로 구성된 날개, 콘크리트 철근 등의 폐기물을 처리할 마땅한 방법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태양광 발전의 연료인 햇빛은 공짜이지만 태양광 패널을 중국에서 수입하면 궁극적으로는 에너지 수입국이 된다는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시급…원자력계도 국민적 신뢰 쌓아야

하 학회장은 원자력계의 시급한 현안으로 신한울 3·4호기를 하루속히 건설재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새로운 원전을 짓거나 기존 원전의 설계연장을 하지 않더라도 기존에 짓던 원자로는 계속 지어 원전 생태계를 유지해야 오는 2028년을 목표로 하는 소형모듈원자로 개발과 대형원전 수출 기회를 엿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하 학회장은 “원자력 관련 기업들이 물량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국제품질인증,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와 인력들이 대거 빠져나간 상황”이라며 “SMR을 5~10년후 수출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기업들이 망해있다면 수출을 하고 싶어도 못하게 되기 때문에 최소한 그때까지 버티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하 학회장은 원자력계의 자성 필요성도 강조했다. 원자력학회 차원에서도 원자력연, 한국원자력산업협회와 함께 ‘원자력 바로 이해하기’ 직무연수를 통해 교사에게 원자력과 방사선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교육방안도 설명했다.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원자력소통포럼을 통해 원자력을 알리려는 노력도 했다.

하 학회장은 “원자력계가 그동안 국민에게 원자력을 바로 알리는 노력이 부족했고, 각종 비판도 겸허히 들어야 한다”면서도 “특히 원자력이 단순히 괜찮다고만 주장하는 게 아니라 위험을 어떻게 생각하고, 에너지를 어떠한 시각으로 봐야 하는지 등에 대해 국민과 계속 소통하는 부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 학회장은...

△1956년 경남 진주 출생 △서울 중앙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학사 △오하이오주립대 석·박사 △현 한국원자력학회장 △현 대덕원자력포럼 회장 △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안전연구본부장·원자력기초과학연구본부장·연구로이용개발본부장·신형원자로개발연구소장 △전 한국원자력연구원장 △전 경제협력개발기구 산하 원자력기구(OECD NEA) 원자력개발국장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