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기자수첩]로봇 테스트필드 국가균형발전 출발점 돼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로봇산업 육성 핵심 거점이 될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 부지 선정 시점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연평균 100조원 규모의 성장이 전망되는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글로벌 지위를 선점하기 위한 역할을 어떤 지역이 맡게 될지 산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총사업비 3000억원 규모인 이번 사업에 서울, 대구, 부산, 광주, 충남, 경남 등 6개 지역이 유치 경쟁에 나선 상태다.

유치전이 본격화된 시점에서 부지 선정 평가 기준을 두고 비수도권 중심으로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비수도권 혁신성장의 필요성을 줄곧 강조해 온 정부 기조와 달리 평가 기준에서 국가균형발전 부분이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입지 조건만을 따진다면 관련 첨단기술 및 연구개발(R&D) 인프라가 집중된 서울 마곡 R&D산업단지가 우세한 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보다 앞서 중소벤처기업부의 'K-바이오랩허브' 공모사업도 비수도권에서 국가균형발전에 역행한다며 반발이 심했다.

당시 인천과 대전, 충북, 전남, 경남이 뛰어든 유치전에서 비수도권이 제안한 사업임에도 수도권인 인천이 잘 갖춰진 인프라를 내세워 최종 대상지로 선정됐다.

국책사업 수행에서 인프라는 중요한 조건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비수도권도 미래산업의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현재 로봇 테스트필드 유치에 뛰어든 비수도권 지역들은 상당 기간 해당 산업을 특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다.

지역별로 관련 기업을 육성하며 건강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산업생태계와 로봇 테스트필드를 연계한 확장성을 감안하면 이를 통한 지역경제 성장과 국가균형발전의 시작이 될 가능성이 짙다.

정부는 이번 국책사업을 통해 비수도권 지역에서 미래 산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줄 필요가 있다.

기존 인프라가 전부가 아니라 부족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지역 잠재력을 높여야 한다.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등 급변하는 경제 변화 속에서 지역이 미래산업을 이끄는 주체가 되도록 지원하는 것이 진정한 국가균형발전을 이루는 길이 될 것이다.

대전=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