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은 4일 오후 점심시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 거리두기 격상 여파로 휴가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자영업자의 절반이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조처를 9월 말이나 11월 말까지 연장하는 데 찬성했다는 내용의 정부 의뢰 설문조사 결과가 논란에 휩싸였다. 정부는 최근 실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에서 추출한 내용이라고 밝혔지만, 자영업자 단체는 ‘언론 플레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오는 6일 거리두기 연장시 규탄시위에 나설 계획이다.
━
코로나19 인식조사 결과 일부 논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전날(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관련 인식조사(7월)’ 결과를 내놨다. 지난달 12일부터 시행 중인 거리두기 4단계 연장에 대한 여론이 담겼다. 응답자의 84%가 찬성이라고 했다. 이런 결과에 아예 보도자료 제목이 ‘국민 10명 중 8명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연장에 공감’이었다. 또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현 단계를 언제까지 유지할 것인지’ 묻는 취지의 질의엔 9월 말(25.1%)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8월 말(20.5%), 11월 말(20.3%) 등 순이었다.
특히 정부는 “자영업자들도 ‘9월 말까지 유지하자’는 의견이 25.3%, ‘11월 말까지 유지하자’는 의견은 25.3%로 일반 국민과 비슷한 수준으로 응답했다”고 설명했다. 자영업자 응답자의 50.6%가 앞으로 수도권 4단계·비수도권 3단계 수개월 연장에 공감하는 것처럼 읽힌다. 설문조사 시점은 지난달 27일~29일이었다.
지난달 14일 밤 서울 여의도공원 인근에서 ‘전국자영업자비대위, 거리두기4단계 조치 불복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자영업자 표본 10% 안돼
하지만 자영업자 상대의 별도 인식조사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7월 인식조사는 중수본의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진행했는데,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 표본에 자영업자가 10% 조금 안 되게 포함돼 있었을 뿐이다. 표본은 9개 직업군으로 구성됐고, 자영업자는 그중 하나였다. 그런데 이런 일부 자영업자 표본을 근거로 “(4단계 유지에 대해) 일반 국민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해석한 것이다.
상당수 자영업자는 이번 인식조사에 괴리감을 느낀다. 4단계 격상으로 매출에 직격탄을 맞은 이들이 많다. 한국신용데이터가 지난달 80만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신용카드 매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단계 격상 뒤 한 주간 서울시 내 자영업자 매출은 코로나19 발생 이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1% 줄었다. 더욱이 ‘오후 6시 이후 3인 모임 금지’ 방역수칙으로 매출 타격이 컸다. 오후 6시 이후 평균 매출은 같은 기간 31% 감소했다.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4주째 이어진 4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골목이 낮인데도 컴컴하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자영업 비대위, "연장시 규탄 시위"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 4일 성명을 통해 “(정부는 일부) 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거리두기 연장·강화를 위한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다”며 “이는 전국 자영업자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비대위는 8일 이후 수도권 4단계·비수도권 3단계 거리두기가 연장 또는 강화될 경우 차량을 이용해 전국 단위의 정부 규탄 시위를 벌일 계획이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인식조사 표본 상) 직업군별의 응답 비율을 봤을 때 전체적으로 자영업자 쪽도 일반인 답변과 거의 유사한 비율로 답변이 나왔다”며 “그 부분을 설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욱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