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단독]"100% 당첨인줄 알았는데" 사전청약 경쟁률 엉터리 계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소은 기자]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3일 오전 서울 송파구 장지동에 위치한 사전청약 접수처에서 시민들이 3기 신도시를 비롯한 수도권 신규택지의 사전청약 관련 상담을 받고 있다. 이날 국회와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2일 오후 3시 기준 사전청약 시스템의 누적방문자 수는 85만1319명에 달한다. 지난달 28일 문을 연 1차 사전청약 시스템 접속자 수가 일주일 만에 10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2021.8.3/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부가 사전청약 경쟁률 집계를 엉터리로 발표해 청약자들이 혼란을 겪게 됐다.

국토교통부·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지난 3일 발표한 신혼희망타운 사전청약 경쟁률 집계가 잘못 계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당해 우선공급 물량에 대해서만 청약 접수가 진행됐는데 경쟁률 계산 시에는 경기도·기타지역(수도권) 공급 물량까지 모두 반영해서다.

국토부는 신혼희망타운 당해지역 우선공급 경쟁률을 4.5대 1이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진행된 공공분양 특별공급 경쟁률 15.7대 1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총 공급 물량 1945가구에 8788명이 신청했다는 게 국토부 발표 내용이다.

입주자모집공고를 보면, 신혼희망타운은 해당주택건설지역, 경기도, 기타지역(수도권) 등으로 거주지역을 구분해 공급 비율을 정했다. 일례로 인천계양은 사전청약 물량인 341가구를 해당 주택건설지역 거주자에 50%, 기타지역(수도권) 거주자에 50% 배정한다.

청약 일정도 거주지역에 따라 나뉘어진다.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3일까지 진행된 청약은 해당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받았고 경기도 및 기타지역(수도권) 거주자 청약은 4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된다.

머니투데이

따라서 청약 경쟁률을 계산할 때는 이번 일정에 포함된 해당지역 거주자 대상 물량만을 반영했어야 했다. 그런데 국토부가 거주지역 구분 없는 총량(1945가구)를 반영하면서 큰 오차가 발생한 것이다. 해당지역 거주자에 물량 100%를 배정한 성남복정1과 의왕청계2를 제외하면 발표된 경쟁률은 모두 틀린 수치다.

해당지역 거주자 물량은 인천계양, 남양주진접2, 위례의 공급가구수는 각각 341→171가구(50%), 439→132가구(30%), 418→125가구(30%)로 줄어든다. 이를 반영해 경쟁률을 다시 계산하면 인천계양 7.7대 1→15.2대 1, 남양주진접2 1.3대 1→4.3대 1, 위례 2.8대 1→9.3대 1로 변경된다.

전체 평균 경쟁률 역시 총 공급가구수가 1945→1175가구로 크게 줄면서 7.4대 1로 올라간다. 기존 경쟁률과 비교하면 당첨 확률이 현저히 떨어진 셈이다. 다만 신혼희망타운은 예비신혼부부 및 조기신혼부부(혼인 2년 이내)에게 물량을 우선배정한 후 이를 다시 지역 별로 배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이 역시 정확한 수치라고 보긴 어렵다.

국토부는 계산 오류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예비신혼부부, 조기신혼부부에게 물량을 먼저 할당하고 그 안에서 지역을 또 구분하는 절차가 있어 지역 별 공급량을 정확히 규정짓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며 "그래서 일단 총량에 대한 경쟁률 중간집계를 발표했고 정확한 경쟁률은 11일 기타지역까지 접수 완료 후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토부는 전날 사전청약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같은 내용을 설명하지 않았다. 잘못된 청약 경쟁률 발표로 사전청약을 신청했거나 준비 중인 수요자들은 혼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남양주진접2 전용 55㎡의 사례가 그렇다. 이 평형은 앞선 발표에서 경쟁률이 0.9대 1로 알려져 청약자들은 이미 결격 사유가 없는 이상 무조건 당첨된 것으로 여기고 있다. 하지만 해당지역 거주자 물량은 59가구 밖에 안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청약자 172명 중 약 100명 이상이 탈락한 것이다.

이소은 기자 luckyss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